알아볼 것들
👉 react-loaderble
👉 webstorm
👉 linter에서 프로미스 함수에 then 안 쓰면 노란줄 걸림
👉 usequery에 페이지네이션 기능이있음
👉 랜더단에 맵 넣지 말자
가독성 떨어짐 랜더단에서는 최대한의 가독성이 필요함
👉 삼항연산자 리턴문안에 넣지말자
댑스가 길어진다. 가독성이 떨어진다
읽을때 조건을 생각하게 되는거 자체가 리소스이다.
—> 파일을 아예 따로 팜
👉 useMemo쓰시는 이유
usememo나 usecallback 쓰나 안 쓰나 비슷한데
함수 파악을 위해 쓰신다.
👉 props 전달을 댑스 2개 이상 넘기지 말자
👉 프론트엔드는 수정 싸움
수정을 빠르게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한다.
로직단과 뷰단을 깔끔하게 나눠야한다.
👉 라이브러리 뜯어보는 공부가 정말 도움이 된다.
👉 현업에서는 svg로 사용/ react-icons같은거 안 씀
👉 프론트는 기업의 문제점을 풀어주는 역할
기능에 대해 많이 생각해보기 → 기술적으로 어떻게 필요할지 생각하고
그 다음에 검색하기
핀터레스트, 드리블 매일매일 보기 어떻게하면 잘 짤지 고민하기
👉 css라이브러리로 emotion + sass
컴포넌트단에만 emotion 사용하고 page에는 sass 사용
👉 라이브러리 사용할 때 왜 쓰는지 항상 고민하고 사용하기
👉 폴더구조 마음대로 바꾸지 않기 && 파일 정리 잘 하기!!!
👉 줄임말쓰지 않기 ex) favs (뜨끔)
👉 import 순서
⇒ npm, type, hooks, component, style
👉 변수가 많은데 계산이 하나이다 → useMemo
👉 폰트 추천 → 프리텐다드 폰트
👉 노토 산스는 숫자가 구리다...
👉 라토 숫자가 깔끔하다
👉 포맷은 woff2, woff 쓰면 된다
👉 netlify
👉 구글 어날리스틱
👉 react modal && react potal
👉 react helm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