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elog.velcdn.com/images/rg970604/post/5d2d78f9-6212-41d5-8cba-9f49edf522af/image.png)
- ip는 지정한 ip 주소에 데이터를 패킷으로 전달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rg970604/post/2f438abf-00b8-4eaa-848a-b97065ada415/image.png)
- 클라이언트가 목적지와 주소가 적힌 ip패킷 만들어 노드에 전달하고 노드가 계속 목적지를 찾아가 최종 목적지 서버로 찾아감.
![](https://velog.velcdn.com/images/rg970604/post/e3c9d4cd-fa0b-4246-b76e-2db9585e2bf2/image.png)
- 메세지를 받은 서버 역시 메세지를 잘 받았다는 ip 패킷을 만들어 같은 과정으로 클라이언트에 응답 보냄
![](https://velog.velcdn.com/images/rg970604/post/1d578ef1-94f9-4b03-9b62-cdcd330861c9/image.png)
- ip 의 문제는 받으려는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가 불능이어도 패킷을 전송하며, 패킷의 손실이나 순서중복 문제, 같은 ip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분 한계등이 있다.
- ip 프로토콜은 대상 서버가 패킷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 모른다.
![](https://velog.velcdn.com/images/rg970604/post/e04c3dd2-014d-4d49-b2bf-b96a45149772/image.png)
- 패킷을 보내는 도중에 중간 노드가 연결이 끝어지면 패킷이 소실된다.
- 패킷의 용량이 클 경우 패킷을 일정 바이트단위로 끊어서 보내는데, 패킷들이 중간에 서로 다른 노드를 탈 수 있다. 이 경우 패킷의 전달 순서가 섞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