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다른 사람에게 의미있거나 도움이 될 글은 아니다.
단지 내 스스로 다시 다짐하고 나를 다그치기 위해 적는 글이다.
나는 현재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꿈꾸고 있다, 근데 정말 꿈만 꾸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나를 돌아보고 다시 시작하자..
처음 개발자로 입문하게 된 건 전공을 포기하고 국비과정을 들으면서다.
4년동안 공부한 전공을 포기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심지어 학점 관리도 잘하고 나름 전공은 꽤 하는 편이었으니까
근데 학부생시절 실무라 할 것을 경험해보고나니 뭔가 내가 바라는 방향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 대학원을 갈 것인가, 다른 길을 모색해 취업을 할 것인가의 방향에서 다른 길을 통해 취업하는 것을 택했다.
그 길이 개발자였다.
처음에는 뭘할까 고민을 많이 했다.
그래도 전공을 조금이나마 살려볼까, 아니면 그냥 아예 다 버리고 택할까?
그럼 난 뭘 좋아하지? 바리스타? 제빵사?
그렇게 돌고돌고 돌아서 택한 길이 개발자였다.
일단 '다들 하니까 나도 한다!'라는 마인드는 아니었다.
물론 취업시장에서 IT분야가 이점을 가지고 있고 아직까지도 취업이 잘되는 시장이니, 그리고 미래에도 전도유망하니 바라본건 맞았다.
그래도 다들 하니 쉬워보인다? 그런 안일한 마인드는 없었다.
오히려 주변 친구가 하는걸 봤을 때 나는 "와 난 절대 못하겠다"라고 말할 정도였으니까. 그럼에도 해보지 않으면 모른다는 마인드로 아예 배제시키진 않고 이 분야를 고민했던거였다.
그래서 했던 일은 이미 이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친구에게 조언을 구하는 것이었다.
친구야 도와줘!!
풀스택으로 일하는 친구, 프론트엔드로 준비중인 전공자 친구, 최근에는 백엔드로 비전공자로써 취업한 친구에게도 연락했다 (물론 이건 취준팁을 얻기 위해서였지만)
당시 나는 입문하기 전이었고 할지말지 고민중이니 내가 할 수 있을지 냉정히 말해달라고 했었고, 친구들은 자신이 개발자 시장에서 겪은 일들을 얘기해주며 조언해주었다.
그리고 다들 공통되게 한 말은 " 여태 봐온 너라면 충분히 잘해낼 수 있다 "라는 말이었다.
물론 내가 친구이니 응원의 말을 의식해서 더 해줬겠지만 저 말들은 꽤나 응원이 됐다.
이 외에도 유튜브나 구글링을 통해 간접경험을 해보며 코딩이 무엇인지 살펴보았고, 결과적으로 도전해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느껴 뛰어들었다.
길게 얘기할 필요없이 요약하자면
현재 상태이다.
그리고 난, 지금 매우 나태해졌다.
코로롱 이슈로 학원임에도 거진 온라인으로 수업이 이루어졌다.
수강생들간의 교류는 적었고, 나는 점점 체력을 잃었다.
그렇다고 포기한 상태는 아니다. 난 여전히 이 분야로 취직할 의지와 꿈이 있다.
그러나 내 상태가 매우 스스로 한심하게 느껴지는 상태다.
국비 과정을 듣고 난 후 갈피를 못잡고 있다.
최근 다시 갈피를 잡기위해 이것저것 검색해보니 다들 말하길 국비과정보다 부트캠프를 추천하는데 사실 나도 그렇다..
솔직히 국비과정이 아닌 부트캠프를 들을걸 그랬다는 생각이 매우매우 강하게 든다.
1. 국비과정마다 퀄리티차이가 있다.
경험하고나니 느껴진다. 처음 수업을 듣기 시작했을 때 사실 느꼈었다.
그러나 내가 처음 경험하는거고 아직 제대로 경험하지 못했으니 계속 듣자는 선택을 했었다. 비교군이 없었으니까...
그렇게 결국 강사님이 친절했기에 위화감없이 그냥 듣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 생각해보면 친절할지언정 좋은 강사님은 아니었다..
잘 가르치신다는 생각은 과정내내 들지 않았다.
2. 시장 트렌드를 상대적으로 놓칠 수 있다.
이는 위에 말과 일맥상통하긴 한다.
일단 강사님과 커리큘럼이 잘가르친다는 느낌을 못받은것도 있지만
지금 돌아보면 굉장히 시장트렌드를 못따라가고 있었다.
왜냐? 이젠 실무에서 사라져가는 jQuery를 열심히 배웠으니까.
난 몰랐지.. 이게 죽어가는 언어인줄은..
왜 지금 깨달았을까..ㅠㅠㅠ
그에 반해 부트캠프는 매우 근래까지 현업에 머무르던, 심지어 상위 회사에서 일하던 사람이 강사로써 고용되어 있다.
국비과정에서의 강사는 커리어 기재가 거의 없다.
3. 케어 수준이 다를 수 있다.
물론 이건 학원 by 학원일거다.
그러나 내가 느끼기엔 학원의 과정 후 케어, 아니 과정 내 케어도 그렇게 좋단 생각이 들지 못했다.
이건 내 책임도 있다. 좀 더 적극적으로 ' 내가 나섰다면? '이란 생각도 들긴 한다. 내가 찾아먹었어야 하는게 맞지. 그치만 강제력있는 케어도 조금은 있길 바랐다.
스터디 구성, 프로젝트나 테스트 등
근데 그냥 국비과정이다보니 국가단체에 제출할 용으로 진행하는 것만 있을 뿐,
즉 보여지기식 테스트 등만 있어서 그렇게 영양가 있다고 느끼지 못했다.
이 부분은 지극히 주관적이니 누군가 이 글을 본다면 참고만 하길 바란다.
내 스스로 나태의 굴래를 벗어나기 위해 다시 블로그를 시작하려한다.
사실 블로그를 전에도 조금 했었는데, 교육을 들을때는 네이버를 이용했었고, 과정 이후엔 티스토리를 이용하려했었다.
근데 뭔가 불편하단 느낌이 들었었다. 이때 마침 친구가 이용한다는 velog를 접하고 이곳에 다시금 정착해보려 하고 있다.
물론 당장 인터페이스에서 나타나는 지원기능이 많이 보이지 않지만,
언뜻 알기로는 여러 코드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글에 접목시킬 수 있다고 알고 있다.
그래서 지금 이 글을 작성하는데도 호기심이 생긴다. 개발자가 이용하려 한다면 좋을 만한 플랫폼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