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프로그래밍 튜터링] - 자료형(논리)

로안·2024년 10월 8일
0

인터넷프로그래밍

목록 보기
5/5

논리형

  • 논리형(boolean)은 참(true)과 거짓(false)만을 값으로 가집니다.
const a = 5;
const b = 2;
console.log(a > b); 
console.log(b > a);
// 결과
true
false

⚠️ 여기서 잠깐!

  • 결과를 변수에 담아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14강에서 배울 조건문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let a = 10;
let b = 5;

// a가 b보다 큰지 비교
let isAGreaterThanB = a > b; // true

// 조건에 따라 다른 동작 수행
if (isAGreaterThanB) {
  console.log('a는 b보다 큽니다.');
} else {
  console.log('a는 b보다 크지 않습니다.');
}
// 결과
a는 b보다 큽니다.

typeof 연산자

  • typeof 연산자는 타입을 확인해야 하는 피연산자 앞에 사용합니다.
typeof operand;
  • typeof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데이터 타입을 문자열로 반환합니다.
const str = 'JavaScript';
console.log(typeof str);
// 결과
string
-------------------------
const num = 5;
console.log(typeof num);
// 결과
number
-------------------------
const bool = true;
console.log(typeof bool);
// 결과
boolean

undefined와 null

  • undefined와 null 모두 값이 없음을 나타내지만 사용 목적이 다릅니다.

undefined

  • undefined는 변수 선언 후 초기화하지 않았을 때 시스템이 할당하는 변수의 기본값입니다.
let foo;
console.log(foo); 
// 결과
-------------------------
undefined
console.log(typeof undefined); 
// 결과
undefined

null

  • null은 변수가 존재하고 해당 변수에 ‘null’ 값을 할당한 상태입니다.
  • null은 직접 할당하기 때문에 변수에 ‘값이 없음‘을 의도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let bar = null;
console.log(bar);
// 결과
null
-------------------------
console.log(typeof null); 
// 결과
object
  • null의 타입이 object로 표시되는 것은 언어 설계 초기의 버그 때문입니다.
  • 변수의 값이 null인지 확인할 때는 일치 연산자( === )로 null과 같은지 명시적으로 확인합니다.

코드실습

두 물품의 가격을 비교하려 해요. 코드를 완성하세요

  • 조건
  • 첫 번째 줄 console.log를 사용하여 true가 출력되어야 합니다.
  • 두 번째 줄 consonle.log를 사용하여 변수 pie의 자료형 타입이 출력되어야 합니다.
const pie = 3000;
const cake = 4000;
console.log(`pie < cake의 결과를 출력하면 ${pie  (__1__)cake}입니다.`);
console.log(`변수 pie의 타입은 ${(__2__) pie}입니다.`);

1번 힌트 : 결과가 true가 되려면 어떤 기호를 입력해야 할까요?
2번 힌트 : 자료형의 타입을 어떻게 알아낼까요?

profile
MOOOMEN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