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 a = 5;
const b = 2;
console.log(a > b);
console.log(b > a);
// 결과
true
false
⚠️ 여기서 잠깐!
- 결과를 변수에 담아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14강에서 배울 조건문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let a = 10;
let b = 5;
// a가 b보다 큰지 비교
let isAGreaterThanB = a > b; // true
// 조건에 따라 다른 동작 수행
if (isAGreaterThanB) {
console.log('a는 b보다 큽니다.');
} else {
console.log('a는 b보다 크지 않습니다.');
}
// 결과
a는 b보다 큽니다.
typeof operand;
const str = 'JavaScript';
console.log(typeof str);
// 결과
string
-------------------------
const num = 5;
console.log(typeof num);
// 결과
number
-------------------------
const bool = true;
console.log(typeof bool);
// 결과
boolean
let foo;
console.log(foo);
// 결과
-------------------------
undefined
console.log(typeof undefined);
// 결과
undefined
let bar = null;
console.log(bar);
// 결과
null
-------------------------
console.log(typeof null);
// 결과
object
두 물품의 가격을 비교하려 해요. 코드를 완성하세요
- 조건
- 첫 번째 줄 console.log를 사용하여 true가 출력되어야 합니다.
- 두 번째 줄 consonle.log를 사용하여 변수 pie의 자료형 타입이 출력되어야 합니다.
const pie = 3000; const cake = 4000; console.log(`pie < cake의 결과를 출력하면 ${pie (__1__)cake}입니다.`); console.log(`변수 pie의 타입은 ${(__2__) pie}입니다.`);
1번 힌트 : 결과가 true가 되려면 어떤 기호를 입력해야 할까요?
2번 힌트 : 자료형의 타입을 어떻게 알아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