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Network 2주차 (1)

강현·2022년 4월 2일
0

Computer Network

목록 보기
2/7

Packet delay


packet delay에는 4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Nodal processing

bit error을 체크하거나 output link를 결정하는데 걸리는데 시간

processing 하는데 걸리는 시간


2. Queueing delay

queue에 들어가서 나올때 까지 걸리는데 시간

queue의 혼잡상태에 따라 delay가 차이남

R=link bandwidth(bps)
L=packet length(bits)
a=average packet arrival rate

La/R이 1에 가까워지면 delay가 커지며 1을 넘어서면 data를 초과합니다.


3. transmission delay

queue에 맨앞에 있는 것을 끄집어내서 link에 올리는 시간

delay 계산방법
L : packet length
R : link bandwidth
trans delay = L/R

ex)link=컨베이너벨트
bits=박스
컨베이너 벨트위로 박스를 올리는데 걸리는 시간

node가 가지고 있는 모든 bits를 link로 보내는 시간

4. propagation delay

bits가 link를 타고 다음 node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delay 계산방법
d=length of physical link
s=propagation speed
prop delay=d/s (거리/속력)

delays

transmission delay와 propagation delay의 차이점

trans는 link에 올리는데 걸리는 시간이고 prop는 올린 bits가 다음 node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전체 걸리는 시간 = proc delay + queue delay + trans delay + prop delay


실제로 source에서 destination까지의 경로와 delay를 확인하려면 traceroute를 사용하면됩니다.

ex) traceroute www.google.com

Throughput

source에서 destination까지 여러개의 link를 거쳐 1초에 몇 bits를 받는지

  • instantaneous : 일정 시간에 따른 throughput time
  • average : 평균적인 throughput time

Rs < Rc일 경우 = Rs
Rs > Rc일 경우 = Rc
더 작은 link의 throughput에 따라 다른 link의 throughput이 정해짐

정하는 link = bottleneck link( 병목 link )

throughput



Protocol "layers"


Layer로 계층을 나눠서 정의

각각의 service를 layer별로 나눴습니다.

왜 layering을 하는가?
복잡한 system을 조각내서(modularization) 걔네들의 관계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장점

  1. 유지보수가 편합니다.
  2. 업데이트가 편합니다.

5개의 layer 계층

  1. application : network application을 담당
  2. transport : process-process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담당
    process = 실행이 되고있는 것
  3. network : 하나의 source를 destination의 packet을 전달해주는 기능을 담당
  4. link : 두개의 인접한 network의 data를 주고받는 것을 담당
  5. physical : 물리적으로 bits를 전달하는 담당

ISO/OSI(표준)

7개로 구분

  • presentation : data의 의미를 해석
  • session : 연결해서 데이터를 주고받다 끊어지면 다시 연결해주는 것을 담당

표준으로 정해져있지만 잘 사용되지 않는다.

두개가 빠져도 정상적으로 작동하기에 실질적으로는 5개의 protocol을 사용합니다.

각각의 계층에서는 위아래의 계층이 뭐하든 상관안하고 자기 계층에서 할일만합니다.

Encapsulation : 위에 layer에서 받은 무언가에 header를 붙이는 과정



Network security


Bad guys는 무엇을 하는가?

malware를 hosts에 전파

  • virus : 어떤 것을 받으면 스스로 복제가 되어서 다른 이메일로 나가거나 다른 파일을 감염 (사용자가 직접 실행했을 때 virus에 감염됩니다.)
  • worm : 스스로 실행이되어 감염됩니다.
  • spyware malware : 사용자의 정보를 기록했다가 이용하는 것(광고 사용 등)
  • host가 botnet에 가입이 되어서 DDoS를 보내게 될수도 있음.

Denial of Service (Dos)

attacker가 어떤 server가 가지고 있는 resource를 다 사용하게 만들어서 적합한

DDos 방식
1. target을 설정합니다.
2. botnet에 속한 모든 host가 target에 message를 보냅니다.
3. message를 받았기에 처리를 해야합니다.

정상적인 meggage를 보내도 처리를 하고있는 중이라서 처리하지 못함


Sniffing

다른 node로 가는 packet을 읽어서 나쁘게 이용하는 방법

shared link인 경우 다른 Node가 그 packet의 내용을 볼수 있습니다.

ex) shared link (cable link, Ethernet..)

IP spoofing

A가 B로 보낼때 C가 중간에 가로채서 A인척 하고 packet을 보내는 방법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