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express 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api 를 만들고 테스트를 진행해보았다.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app.listen(3000);
app.get('/products/:n', function(req, res){
// URL에서 전달된 매개변수 n을 숫자로 변환
let number = parseInt(req.params.n) - 10;
console.log(number);
res.json({
num : number
});
});
파라미터가 어떤 타입으로 반환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습한 demo 코드이다.
app.get('/watch', function(req, res){
const { v, t } = req.query;
console.log(v);
console.log(t);
res.json({
video: v,
timeline: t
});
});
유튜브 링크를 활용해
v(영상 ID)와 t(시간)을 추출하여 JSON 형태로 반환해보는 실습을 해봤다.
간단하게 Map이란
JavaScript의
Map객체는 Key-Value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string 뿐만 아니라 number, object 도 가능하다.get(), set() 메서드를 이용해 값을 저장하고 가져올 수 있다.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app.listen(3000);
app.get('/', function (req, res) {
res.send('Hello World');
});
app.get('/:id', function (req, res) {
let { id } = req.params;
id = parseInt(id);
console.log(id);
console.log(db.get(id));
if (db.get(id) === undefined){
res.json({
message: "없는 상품입니다."
});
}else{
res.json({
id: id,
productName : db.get(id)
});
}
});
// 상품 데이터 저장
let db = new Map();
db.set(1, "NoteBook");
db.set(2, "Cup");
db.set(3, "Chair");
map 객체를 사용해 상품 테이터를 저장하고,
요청된 상품 ID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반환하는 api를 만들어보는 실습을 진행했다.

내 손으로 처음 api 를 만들어보면서
데이터도 불러와봤다.
기존에 map 을 알고는 있었지만 이렇게 사용하는지 알았다.
사용을 하면서 어떤 코드에 어떤 방식으로
오늘 배운 방법을 사용할 지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