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가계부 프로젝트를 들어가면서
JavaScript 의 핵심 개념들에 대해서도 학습을 했다.
JavaScript에서 표현식(Expression)은 값을 만들어내는 코드 조각을 의미하며, 문(Statement)은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코드 단위를 뜻한다.
5 + 10, x > y, myFunction() 등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코드let x = 10;, if (x > 5) { console.log(x); }처럼 실행을 명령하는 코드조건문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실행되는 코드 블록이다. 대표적으로 if, switch 문이 있다.
반복문 중 하나로, 특정 횟수만큼 코드 블록을 실행할 때 사용한다.
for (let i = 0; i < 5; i++) {
console.log(i);
}
for (let i = 0; i < 5; i++) {
if (i === 2) break; // 2에서 반복문 종료
console.log(i);
}
JavaScript에서 예외는 코드 실행 중 발생하는 오류이다.
오류를 발생시키고 싶을 때 throw 문을 사용한다.
throw new Error("잘못된 접근입니다.");
오류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try {
let result = someUndefinedFunction();
} catch (error) {
console.log("에러 발생:", error.message);
}
JavaScript 객체는 키-값 쌍의 집합이다. 객체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let person = { name: "John", age: 30 };
객체를 비교할 때 ===를 사용하면 참조 주소를 비교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Object.assign() 또는 spread 연산자를 사용하여 객체를 복사할 수 있다.let obj1 = { name: "Alice" };
let obj2 = { ...obj1 };
console.log(obj1 === obj2); // false
정규표현식은 문자열에서 특정 패턴을 찾거나 수정할 때 사용된다.
let regex = /hello/i;
console.log(regex.test("Hello World")); // true
오늘은 위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가계부 프로젝트를 시작을 했다.
어려운 내용도 있었지만 그래도 아예 처음 본 내용들은 아니여서 상기만 시키고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