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C언어로 연산자와 반복문, 포인터, 함수에 대해서 배웠다.
하지만 정리는 따로 JavaScript 로 정리하겠다.
JavaScript에서 연산자는 값을 조작하는 데 사용된다.
대표적인 연산자로는 산술 연산자, 할당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등이 있다.
let a = 10;
let b = 5;
console.log(a + b); // 15 (산술 연산자)
console.log(a === b); // false (비교 연산자)
console.log(a > 5 && b < 10); // true (논리 연산자)
분기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 실행 흐름을 변경할 때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if, switch문이 있다.
let num = 10;
if (num > 0) {
console.log("양수입니다");
} else {
console.log("음수입니다");
}
반복문은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블록 내부의 코드를 실행하는 구조이다.
for (let i = 0; i < 5; i++) {
console.log(i);
}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이다.
JavaScript에서는 함수 선언식과 함수 표현식으로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function greet(name) {
return `Hello, ${name}!`;
}
console.log(greet("Alice"));
변수의 범위(Scope)는 변수의 접근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JavaScript에는 전역 범위(Global Scope), 함수 범위(Function Scope), 블록 범위(Block Scope)가 있다.
let globalVar = "I am global";
function scopeTest() {
let localVar = "I am local";
console.log(globalVar); // 접근 가능
console.log(localVar); // 접근 가능
}
console.log(globalVar); // 접근 가능
// console.log(localVar); // 오류 발생 (함수 범위 외부에서 접근 불가)
배열은 여러 개의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자료 구조다.
let fruits = ["Apple", "Banana", "Cherry"];
console.log(fruits[0]); // "Apple"
JavaScript는 직접적인 포인터 개념이 없지만,
객체나 배열을 참조하는 방식으로 포인터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let objA = { value: 10 };
let objB = objA; // 참조 복사
objB.value = 20;
console.log(objA.value); // 20
JavaScript에서 함수는 일급 객체(First-class Object)이므로
변수에 저장하거나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할 수 있다.
function sayHello() {
console.log("Hello!");
}
let greetFunc = sayHello;
greetFunc(); // "Hello!"
오늘은 이렇게 프로그래밍 기초적인 지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위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앞으로 더 지식을 쌓아나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