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

개발자로서 시스템의 근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필수이다.
특히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는 프로그래밍의 기반이 되는 개념으로,
이를 이해하면 더 효율적인 코드 작성과 디버깅이 가능하다.
💻 컴퓨터 구조란?
컴퓨터 구조는 하드웨어의 동작 원리와 구성 요소들을 이해하는 분야이다.
보통 아래 세 가지 관점으로 나뉜다:
1. ISA (Instruction Set Architecture)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
- 예: x86, ARM
2. 마이크로아키텍처 (Microarchitecture)
- CPU 내부 구조와 동작 방식
- 캐시, 파이프라인, 레지스터 설계 등
3. 시스템 설계
- CPU, 메모리, I/O 장치의 상호작용과 배치
- 버스, 메모리 계층 구조 등이 포함됨
⚙️ 운영체제란?
운영체제(OS)는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의 중재자이다.
1. 프로세스 관리
-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을 관리
- 문맥 교환, 스케줄링 등
2. 메모리 관리
- 가상 메모리, 페이징, 스와핑
- 각 프로세스에 메모리 안전하게 분배
3. 파일 시스템
- 디스크에 데이터를 조직적으로 저장/관리
- 예: ext4, NTFS, FAT32
4. 장치 드라이버
🔄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의 연결 고리
| 컴퓨터 구조 요소 | 운영체제 역할 |
|---|
| CPU | 프로세스 스케줄링, 인터럽트 처리 |
| 메모리 계층 구조 | 가상 메모리 구현 및 관리 |
| I/O 장치 | 드라이버 관리, 버퍼링, 입출력 처리 |
운영체제는 하드웨어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게끔
컴퓨터 구조에 맞는 소프트웨어 전략을 제공한다.
📌 TIL
- 컴퓨터 구조를 이해하면 성능 병목이나 최적화 지점을 쉽게 찾을 수 있다.
- 운영체제의 개념은 시스템 프로그래밍, 보안, 멀티쓰레딩 개발에 꼭 필요하다.
- "잘 만든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와 하드웨어를 고려한 구조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