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국비지원] 개발자 교육 : 도커(2023.11.16)fit.구디아카데미,김지훈 강사님

Nicole Gold·2023년 11월 16일
0

K-digital training

목록 보기
51/60

도커란?

Docker & container

  • Docker 는 container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

  • Container 는 무언가 를 담아 놓는 통.

  • 그 무언가는 동작하는 프로그램 , 즉 process 가 담겨져 있다.

  • Docker 의 container 를 사용하면 프로그램 설치 시 OS 에 구애 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다.

  • 한번 생성한 container 를 이용해 같은 환경을 다른 서버에 구성할 때 매우 편리하다.

V.M vs Docker

  • Docker 이전에도 가상화 기술은 존재했다.
  • 그럼 Docker 와 기존 가상 머신의 차이점은?

설치 환경 체크하기(window)

  • 정품 인증이 되어 있어야 한다.
  • 작업 관리자 > 자세히 성능 에서 CPU 가상화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어야 한다.

  • 우선 본인의 Window 버전이 Home 인지 Pro 인지 확인해야 한다.

  • 시스템 > 정보

  • 에디션이 Pro 인지 Home 인지 확인해 준다.

  • 윈도우 + R 이 후 winver 명령어로도 확인가능
  • Window 키 + S 를 눌러 ‘Windows 기능 켜기 끄기 검색.

  • Hyper V 관련 기능을 체크 해준다.

  • 이 부분은 Window Home 버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 다음은 Window Home 에서 아래 내용을 해준다.

  • Window Home 버전은 다음을 따라야 한다

  • 우선 아래 두 개 속성을 체크한 후 재부팅 해준다.

WSL(Window Subsystem for Linux) 설치하기

  • Docker 는 본래 linux 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이다.

  • 그래서 WSL 을 설치하여 window 에서 linux 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 관리자 권한으로 Power Shell 를 실행해 준다.

  • 그리고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

  • 이후 컴퓨터를 재부팅 해준다.

# window에서 linux 환경 실행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 Windows Subsystem Linux /all /norestart
# virtual machine platform 환경 실행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 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 wslblob /wsl_update_x64.msi
  • 위 url 에서 wsl2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 키지를 다운받아 설치해 준다.
  • 만약 이전에 재부팅 하지 않았다면 아래와 같은 경고가 나타난다.

이후 WSL 기본 버전을 2 로 변경해 준다.
wsl --set default-version 2

업로드중..

리눅스 명령어 모음

#shell : 리눅스 명령어 모음(sql 파일과 비슷)

  1. 이미지 확인
    docker images

  2. 다운로드 가능한 이미지 확인

  3. docker search 다운로드 받을 프로그램 이름
    docker search mariadb

  4. 설치

  5. docker pull [프로그램]:[버전] <- 버전을 안 넣으면 무조건 최신 버전
    docker pull tomcat:9.0

  6. 컨테이너 생성(이미지를 컨테이너에 담아 시작하는 것)

  • docker run -d --name [컨테이너이름] -p [외부포트]:[내부포트][이미지이름]
  • -p 8080:8080 8080 이라는 포트로 요청이 들어올 경우 도커 내 8080 포트를 가지고 있는 녀석으로 연결
  • --name 만약 이 옵션이 없다면 컨테이너 이름을 임의로 지어버린다.
    docker run -d --name tomcat -p 8080:8080 tomcat:9.0
  1. 컨터이너 도는지 확인
    docker container ls

  2. 왜 404가 뜨는지 컨테이너 내부로 들어가보기

  • docker exec [옵션][컨테이너 이름] /bin/bash
  • -it : 터미널을 사용하겠다는 옵션
    docker exec -it tomcat /bin/bash
  1. webapps 폴더 안으로 들어가라
    cd webapps

  2. 해당 폴더의 파일 목록을 보여달라
    ls

  3. ROOT 라는 폴더를 만들자
    mkdir ROOT

  4. index.html 을 이 폴더로 이동시킨다.

  5. 우선 index.html 에 있는 곳으로 이동
    cd C:
    ls

  6. 로컬에 있는 파일을 컨테이너에 복사하기

  7. docker cp [로컬파일위치][컨터이너이름]:[붙여넣을 위치]
    docker cp ./index.html tomcat:/usr/local/tomcat/webapps/ROOT/

  8. 톰캣 껏다 켜기
    docker stop tomcat
    docker start tomcat

profile
JAVA 개발자로 가는 길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