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와 HTTPS의 차이점

강우엉·2023년 8월 14일
0

study

목록 보기
4/44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W3 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 주로 TCP를 사용하고 HTTP/3 부터는 UDP를 사용하며, 80번 포트를 사용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란?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HTTP에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
  • 443번 포트를 사용하며, 네트워킄 상에서 중간에 제3자가 정보를 볼 수 없더록 암호화를 지원

HTTPS를 사용하는 이유

  1. 기밀성
  • HTTPS는 인터넷과 같은 공공 매체에서 두 참여자 간의 통신을 보호
  • ex) HTTPS가 없다면 와이파이(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운영하는 사람은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는 사람이 온라인에서 무언가를 구입할 때 신용카드와 같은 개인정보를 볼 수도 있음
  1. 무결성
  • HTTPS는 변조되지 않은 정보로 목적지에 도달하게 함
  • ex) 와이파이가 웹사이트에 광고를 추가하거나, 대역폭을 절약하고자 이미지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읽는 기사의 내용을 변조할 수 있지만 HTTPS는 웹사이트를 변조할 수 없도록 함
  1. 인증
  • HTTPS를 통해 웹 사이트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
  • ex)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운영하는 사람이 가짜 웹사이트를 브라우저에 보낼 수도 있음. HTTPS는 example.com이라는 웹사이트가 실제로 example.com인지 확인함. 일부 인증서는 yourbank.com이 YourBank.Inc라는 걸 알리기 위해 해당 웹사이트의 법적 신원을 검사하기도 함

HTTPS를 쓰면 모두 암호화되니까 좋을까?
모든 사이트에서 텍스트를 암호화하여 주고받으면 속도가 느려진다.

따라서, 중요한 사이트는 HTTPS로 관리하고, 아닌곳은 HTTP를 쓰는게 좋다.

HTTPS의 동작 과정

HTTPS는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를 모두 사용하여 빠른 연산 속도와 안정성을 모두 얻고 있다.

HTTPS 연결 과정(Hand-Shaking)에서는 먼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세션키를 교환한다. 여기서 세션키는 주고 받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칭키이며, 데이터 간의 교환에는 빠른 연산 속도가 필요하므로 세션키는 대칭키로 만들어진다.
문제는 이 세션키를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어떻게 교환할 것이냐 인데, 이 과정에서 비대칭키가 사용된다.

즉, 처음 연결을 성립하여 안전하게 세션키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비대칭키가 사용되는 것이고, 이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빠른 연산 속도를 위해 대칭키가 사용되는 것이다.

실제 HTTPS 연결 과정이 성립되는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서버로 최초 연결 시도를 함
  2. 서버는 공개키(엄밀히는 인증서)를 브라우저에게 넘겨줌
  3. 브라우저는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세션키를 발급함
  4. 브라우저는 세션키를 보관하며 추가로 서버의 공개키로 세션키를 암호화하여 서버로 전송함
  5. 서버는 개인키로 암호화된 세션키를 복호화하여 세션키를 얻음
  6.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동일한 세션키를 공유하므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세션키로 암호화/복호화를 진행함

Reference

profile
우엉이의 코딩 성장일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