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수정렬 (Radix Sort)
- 낮은 자리 수부터 정렬하는 방식
- 각 원소간의 비교 연산을 하지 않아 빠른 대신, 기수테이블을 위한 메모리 필요
- 시간 복잡도: O(dn)
- d: 최대자릿수
Queue를 활용해 구현
계수정렬 (Counting Sort)
- 숫자끼리 비교하지 않고 카운트를 세서 정렬하는 방식
- 카운팅을 위한 메모리 필요
- 시간 복잡도: O(n+k)
- k: 정렬대상 데이터 중 최대값
셸정렬 (Shell Sort)
삽입 정렬의 약점
오름차순 정렬 기준, 내림차순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앞의 데이터와 하나씩 비교하며 모두 교환 필요
- 이전의 모든 데이터와 비교하지 않고 일정간격을 두어 비교
- 간격은 보통 배열길이의 절반부터 시작
- 시간복잡도: O(n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