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
하면 html
문서에 기본 틀 볼 수 있음head
에 있는 태그들이 하는 일 - 페이지에 대한 metadata
를 포함하는 것html
도 하나의 데이터 이기 때문에 html
문서를 설명하는 데이터가 메타데이타head
안에 단 하나의 title
만 가능meta
태그를 여러개 사용해서 문서의 정보를 나열하는 형태로 사용문서의 메타데이터를 이름-값 으로 표현
두개 항상 같이 씀
UTF-8
head
의 첫번째 정보로 넣거나 title
전에 넣어주기name="viewport" content=""
width=device-width
-> 이 웹페이지를 접속하는 기기의 가로랑 실제 길이를 동일하게 하라initial-scale='0.0~10.0'
장치너비와 뷰포트 너비의 비율 설정, 보통 1.0 (두세배 확대할 이유 없으면)user-scalable="yes or no"
두 손가락으로 확대기능할건지head
에서 문서정보뿐만 아니라 외부의 파일, 리소스를 연결할 수 있음link
태그 사용해야함html
과 연결할 때, 사이트 아이콘 팝잇콘 추가할 때 등text/css
html
은 이 문자열을 해석할 수 없음 -> 어떤 형태의 파일인지 인지하지 못함 -> type
이란 속성으로 명시 text로 된 css구나~'text/css'
이런 형태를 MIME 타입
이라고 부름카테고리(text나 image 등) / 확장자
link
태그로 연결하는 것을 권장head
에 있어도 되고 body
에 있어도 되지만 위에서부터 html파일을 해석해내려가다가 script
태그는 만나면 안에 있는 javascript 파일을 먼저해석함 이거 해석하는 동안 화면이 중단이 됨 (로딩이 오래걸림)script
태그는 body
의 마지막에 쓰는 걸 권장html
내용을 먼저 화면에, 그리고 시간이 걸리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마지막에 실행시킴link
태그 사용, 직접 인라인으로 입력하려면 style
태그 사용script
태그 하나로 두개다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