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스모델 테두리
border-style
이 none
이면 아무리 border-width, border-color가 있어도 무조건 0으로 계산되어서 보이지 않게됨
🍄 border
- 단축속성
style
, color
, width
style
은 꼭 작성해야 눈에 보임
- 순서는 상관 없음
🍄 border-radius
%
를 사용하게 되면 가로의% 세로의% 각각 계산이 들어가기 때문에 타원형으로도 만들 수 있음
- 네모, 원, 타원 등 도형 만들 수 있음
📌 box-sizing
🍄 content-box
content
영역만 포함
- 전체 길이 구하려면
content
+padding
+border
🍄 border-box
width
, height
가 padding
, border
를 포함 (margin
은 포함X)
- 눈에 보이는 크기를 명시할 수 있어 빠르게 인지가능
* {
box-sizing: border-box;
}
content-box
-> border-box
로 바꾸는 경우 width
, height
가 의미하는게 완전히 달라짐
padding
, border
포함해서 진짜 요소 전체길이로 인식되어 content
부분이 줄어듬
📌 display
🍄 inline
width
, height
로 크기 변경X
margin
, padding
의 top
/bottom
은 지정X, 좌우만 가능
🍄 none hidden 차이점
display : none;
- 코드 상에는 존재하지만 화면에 그리지 않음
- 위치가 사라짐
visibility : hidden;
- 자리는 차지하고 있지만 눈에만 보이지 않는 형태
'레이아웃에서 완전히 배제하느냐 아니냐' 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