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ay 메소드1

Ryeokyeong Hong·2022년 4월 13일
0

Javascript

목록 보기
8/15

Array.isArray(arg) : boolean

  • 정적 메소드 Array.isArray는 주어진 인수가 배열이면 true, 배열이 아니면 false 반환

Array.from

  • Array.from 메소드는 특정 객체를 변환하여 새로운 배열 생성
    - 유사배열 객체 : length 프로퍼티와 인덱스된 요소를 가지고 있는 객체
    • 이터러블 객체 : Map과 Set 객체 및 문자열과 같이 해당 요소를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객체
// 문자열-> 이터러블
const arr1 = Array.from('hey');
console.log(arr1);				//결과 : ['h', 'e', 'y']

// 유사 배열 객체를 새로운 배열로 변환하여 반환
const arr2 = Array.from({ length: 3, 0: 'h', 1: 'e', 2: 'y'});
console.log(arr2);				//결과 : ['h', 'e', 'y']

// Array.from의 두번째 매개변수에게 배열의 모든 요소에 대해 호출할 함수를 전달 할 수 있음
// 이 함수는 첫번째 매개변수에게 전달된 인수로 생성된 배열의 모든 요소를 인수로 전달받아 호출됨
cosnt arr3 = Array.from({ length: 5 }, function (v,i) { return i;});
console.log(arr3);				//결과 : [0,1,2,3,4]

Array.of

  • 전달된 인수를 요소로 갖는 배열 생성
  • Array.of는 Array 생성자 함수와 다르게 전달된 인수가 1개이고 숫자이더라도 인수를 요소로 갖는 배열 생성
// 전달된 인수가 1개이고 숫자이더라도 인수를 요소로 갖는 배열 생성
const arr1 = Array.of(1);
console.log(arr1);				//결과: [1]

const arr2 = Array.of(1, 2, 3);
console.log(arr2);				//결과 : [1, 2, 3]

const arr3 = Array.of('hey');
console.log(arr3);				//결과 : 'hey'

Array.fill(value, start, end)

  • 배열의 시작 인덱스 ~ 끝 인덱스 이전(끝 인덱스 자기자신은 미포함)까지 하나의 값으로 채워주는 메소드
  • 원본 배열을 직접 변경하며 리턴값은 변형한 배열
    - value : 배열을 채울 값
    - start : 시작인덱스, 기본값: 0, 옵션
    - end : 끝인덱스, 기본값: arr.length, 옵션
// ex1> 길이가 6이고 배열의 원소가 모두 0인 배열 만들기
// 1. 리터널 방법
const arr1 = [0, 0, 0, 0, 0, 0];

// 2. fill() 메소드 방법
const arr2 = Array(6).fill(0);
console.log(arr2);				//결과 : [0, 0, 0, 0, 0, 0]

// ex2>
[1, 2, 3].fill(4) 				//결과 : [4, 4, 4]  -> 모두 4로 채움
[1, 2, 3].fill(4, 1)			//결과 : [1, 4, 4]  -> 1번째 인덱스부터 쭉 4로 채움
[1, 2, 3].fill(4, 1, 2)			//결과 : [1, 4, 3]  -> 1번째 ~ 2번째 인덱스 전까지 4로 채움

// ex3> fill()을 이용하여 모두 1의 행렬(2차원 배열) 만들기
const arr3 = new Array(3);

for (let i=0; i<arr.length; i++) {
  arr3[i] = new Array(4).fill(1); // 크기가 4이고 1로 채워진 배열 생성
}

console.log(arr3[0][0]);			//결과 : 1
console.log(arr3[1][0]);			//결과 : 1
console.log(arr3[2][0]);			//결과 : 1

Array.prototype.indexOf(searchElement, fromIndex) : number

  • 원본 배열에서 인수로 전달된 요소를 검색해서 인덱스를 반환
    - 중복되는 요소가 있는 경우 : 첫번째 인덱스 반환
    • 해당 요소가 없느 ㄴ경우 : -1 반환
  • 두번째 인수는 검색을 시작할 인덱스. 두번째 인수를 생락하면 처음부터 검색
  • 배열에 요소가 존재하는지 여부 확인할 때 유용
const colors = ['red', 'violet', 'blue'];

// colors 배열에 'violet' 요소 존재여부 확인
if (colors.indexOf('violet') = -1) {
	colors.push('violet');
}
console.log(colors);			//결과 : ['red', 'violet', 'blue']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