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44미로찾기 문제를 참고해서 DFS로 풀이했다. 정확성은 100이였지만, 효율성이 0이여서 69.9점밖에 받지 못했다. 이 문제는 '최단거리'를 푸는 문제기 때문에,
현수는 송아지를 잃어버렸다. 다행히 송아지에는 위치추적기가 달려 있다. 현수의 위치와 송아 지의 위치가 수직선상의 좌표 점으로 주어지면 현수는 현재 위치에서 송아지의 위치까지 다음 과 같은 방법으로 이동한다. 송아지는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 있다.현수는 스카이 콩콩을
이 문제는 BFS(넓이우선탐색)의 개념을 알아보는 문제이다. BFS의 개념은 앞장에서 정리했으니 참고하기! 간단히 BFS에 대한 설명을 하자면, 큐를 사용한다(FIFO)level을 사용한다.최단거리를 구할 때 사용한다.(1 level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출력)상태트리를
9장은 그래프와 탐색을 DFS, BFS로 구현하는 문제들이다. (DFS, BFS의 개념은 앞 챕터 참고!) 그래프는 V(노드), E(엣지)의 집합이다. 따라서 G(V, E)로 표현하기도 한다. 여기서 E(엣지)란, 노드와 노드를 연결한 선이다. 그래프 이론에서 '인접행
8장과 9장은 각각 DFS, BFS에 대한 문제들이다. 생각보다 많이 헤맸던 챕터였기 때문에, 처음부터 이론에 대한 공부를 다시 하느라 시간이 많이 걸렸다. 다행히 이론을 다시 공부하고나니, 문제들이 이해되기 시작했다...! 헷갈리는 DFS, BFS 개념을 정리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