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2.23. 반복문

김도익·2022년 12월 23일
0

C#

목록 보기
5/29

<22.12.23. 반복문>

▶반복문

  • 반복문을 사용하기 위해선 규칙을 알아야합니다.

  • 먼저 문제가 나타내는 규칙을 발견할 줄 알아야합니다.

  • 반복문 문법을 써놓고 고민하지말고, 직관적으로 문법을 다 쓰면 규칙이 보입니다. 그렇게 규칙을 찾아낸 다음, 반복문 문법을 적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진짜 제일 중요한 팁입니다.

  • 반복문을 쓰고 싶다면 조건문을 제대로 이해해야합니다.

▶while

  • 문법 : while(조건식){명령어;}
  • while문은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지 않을 때 유용하다.
  • 조건은 나중에 생각하는게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for

  •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을 때 유용합니다.
  • 문법 : for (초기식; 조건식; 증감연산자 변수명){명령어;}

▶do while문

  • 문법 : do{명령어}while(조건식);
  • 참이든 거짓이든 무조건 한 번은 반복문이 실행되고, 참이면 반복, 거짓이면 반복문을 나옵니다.

▶break

  • 반복문을 중단 시킵니다.
  • switch 문에서도 쓰고, 반복문에서도 씁니다.
  • 반복문에서 쓸때는 반복문{ if(조건식){break;} } 이렇게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이게 대표적인 형식이지 다양하게 쓸 수 있습니다.
  • 1차원적 사고방식에 빠지지말고 다양하게 씁시다.
  • break는 가장 가까운 반복문만 빠져나옵니다.
    예를들어 for1(){for2(){break;}} 면 for2를 탈출해 다시 for1로 갑니다. 완전히 빠져나오지 못합니다.
  • 물론 완전히 빠져나오기 위해 변수명을 지정해서 break를 사용해 만들 수 있지만 매우 복잡해지고, 가독성이 떨어지니 다중 포문을 탈출하고 싶다면 goto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goto

  • 사용법 : goto 변수명
  • for(){for(){if(){goto LOOP_EXIT;}}} LOOP EXIT: Console.WriteLine("루프 끝");
    //이렇게 사용하면 이중 for문 탈출이 가능합니다.
    // 레이블(:)이 표시 잊지말고 사용합시다!!
  • 다중 포문을 탈출하기에 가장 좋은 명령어입니다.

▶continue

  • 아래 구문의 실행을 생략하고 다음 루프를 진행합니다.
  • 반복문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ontinue는 반복문을 탈출하는 것이 아닌 아래 구문의 실행을 건너 뛰고 다시 반복문 첫번째로 돌아오는 것입니다.

Tip
비트에서 맨 끝자리가 0이면 짝수, 1이면 홀수입니다.
--------------------> 짝수는?
12 => 0000 1100
14 => 0000 1110
16 => 0001 0000
--------------------> 홀수는?
13 => 0000 1101
15 => 0000 1111
19 => 0001 0011
37 => 0010 0101
짝수, 홀수 찾는 문제가 나올때 n % 2 ==0도 좋지만 n & 1 도 좋습니다.

▶Length

  • 길이 구하기
  • num_list.Length는 num_list길이 구하는 공식
  • string num_list = "Hello";
    Console.WriteLine(num_list.Length); // 5

▶string의 크기는 8byte

  • string은 주소값이 들어갑니다.
  • x86아키텍쳐는 64bit, 레지스터 -> 64bit, 메모리 주소 -> 64bit(=8byte)

▶내 코드가 실행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1. 디버깅을 활용하는 능력은 프로그래머로써 아주 중요한 능력입니다.
  • if()문의 중단점을 넣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옵션을 넣을 수 있는데, 조건, 작업, 적중되면 중단점 제거, 다음 중단점이 적중된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 총 4개가 있다. 이 친구들을 잘 활용하면 30분 걸일 일을 1분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1. 내가 만든 코드를 그림으로 그리는 능력은 중요합니다. 그림을 그린다면 내 코드의 문제가 생겼을 때 어디서 문제가 생겼는지 판단하는데 좋습니다.

▶수학 공식 중 하나입니다.

  • [숫자, 숫자1] => 숫자1 - 숫자2 + 1
    [2, 7] = 7 - 2 + 1 = 6

  • [숫자, 숫자1) => 숫자1 - 숫자
    [2, 7) = 7 - 2 = 5

  • (숫자, 숫자1) => 숫자1 - 숫자 - 1
    (2, 7) = 7 - 2 -1 = 4

profile
고급 개발자가 되고 싶어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