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가 길고 복잡해질 필요 없이, 정규 표현식 패턴으로 코드를 짧고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문법은 언어마다 거의 동일합니다. 그러니 익혀둔다면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손쉽게 활용이 가능합니다.

정규 표현식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텍스트 패턴 탐색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OR ’ | ’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소괄호 ’ ( ) ’로 여러 그룹으로 묶어서 연산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g : 글로벌로 \g를 쓰지 않는다면 하나만 검색하고, 검색을 멈추기 때문에 \g를 쓰면 모든 것을 다 검색할 수 있습니다.
// \w == [a-zA-Z0-9] 이기 때문에 [A-C]\g를 한다면 A,B,C만 찾게 됩니다.
“문자 그룹”을 사용하면 그룹에 포함된 / 포함되지 않은 문자를 찾을 수 있습니다.
대괄호 ‘ [ 찾을 문자들 ] ’를 이용하면 괄호 안의 문자와 하나라도 일치하는 모든 부분을 찾습니다.
알파벳 순서대로 일부를 탐색하려면 ‘ - ’ 를 사용하여 ‘ [시작 문자 - 끝 문자] ’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나의 대괄호 안에 여러 조건을 넣는 것도 가능합니다.
한글도 가능합니다. 자음은 [ㄱ-ㅎ], 모음은[ㅏ-ㅣ], 한글 전체는 [가-힣]으로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괄호 안에 ‘ ^ ’ 기호를 넣으면 괄호 안의 문자를 제외한 모든 문자를 찾습니다.

“수량자”를 이용하면 특정 문자가 몇번 나오는지 관계없이 검색이 가능합니다.
없거나 있거나 ‘ ? ’
없거나 있거나 많거나 ‘ * ’
하나 이상 있는 경우 ‘ + ’
정확하게 수량 지정 ‘{ n }’
최소 { min, } / 최대 { ,max } /최소 ~ 최대 ‘{ min, max }’

“앵커”를 사용하면 위치에 따른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 \b ’ : 단어의 맨 앞 / 맨 뒤에 있는 문자를 찾고 싶을 때 조건의 앞 혹은 뒤에 적습니다.
‘ \B ’ : 조건에 일치하는 문자를 검색하면서 ‘ \b ’조건에 맞는 문자는 제외합니다.
문장에서는 ^과 $를 사용합니다. 맨 앞에 오는 경우 ‘ ^ ’ 맨 뒤인 경우 ‘ $ ’ 를 사용합니다.

“문자 클래스”를 이용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
먼저 본 것과 같이 정규식 안에서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특수한 문자들(ex. 괄호, 연산자 등)을 리터럴로 받고 싶다면 문자 이스케이프()를 활용하면 됩니다.
문자열 전체는 ‘ \w ’ 로 찾을 수 있습니다. 영어 기준 [a-zA-Z0-9] 와 동일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이 중에서 숫자 리터럴은 ‘ \d ’로 찾을 수 있습니다. [0-9] 와 동일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마침표 ‘ . ’ 는 범위 전체를 지정합니다. 줄바꿈 문자(엔터)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줄바꿈 문자를 검색하고 싶다면 ‘ \n ’ 을 사용하여 찾습니다. (n터~)
공백문자 “ ” 는 ‘ \s ’를 사용합니다. 공백문자를 제외하는 경우는 ‘ \S ’ 입니다.

Regex Class 메서드
IsMatch() - 해당 문자열에서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
Match() - 일치하는 부분을 하나 찾아 Match 객체로 반환
Matches() - 일치하는 부분을 모두 찾아서 MatchCollection 객체로 반환
Replace() - 해당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열로 치환 수행
Split() - 문자열을 여러 문자열 배열로 나누게 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