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Query는 html 조작을 쉽게 바꿔주는 javascript의 라이브러리이다.(+ 자바스크립트 문법을 간단하고 짧게 만들어서 쓸 수 있다.)https://releases.jquery.com/에 들어가서jQuery 3.x 버전의 minified를 눌러 나오는
자바스크립트의 변수 선언 방식은총 세 가지 경우가 있다. var, let, const 키워드마다 변수의 선언, 할당, 범위에서 차이가 있다.결론부터 말하자면var : 재선언 O 재할당 Olet : 재선언 X 재할당 Oconst : 재선언 X 재할당 X 의 특징을 가진다
동기 처리의 가장 기본적인 뜻은 한번에 코드를 한 줄씩 차례대로 실행한다는 뜻이다.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는 웹 브라우저에는 stack이라는 코드 실행 공간이 있는데, 거기서 코드를 한 줄씩, 차례대로 실행한다.다음과 같은 코드를 출력하면자바스크립트는 한 번에 코드 한 줄
'.?'은 Optional chaining operator(선택적 체이닝 연산자)라고 부르며, ES2020부터 추가된 문법이다.이 연산자는 객체의 중첩된 속성에 접근할 때, 해당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TypeError'를 발생시키지 않고, 'undefined'
회사에서 레거시 코드를 분석하던 중에 !!라는 생소한 코드를 보게 되었다. (이 이상은 보안상 공개불가..ㅎㅎ) 처음 생각했을 때, 위 코드에서 existWebQuery 변수에는 dbInfo와 queryInfo가 둘 다 true일 경우, true 값이 저장되는 코드다라
문제 상황 & 문제 인식 > 여느 때와 다름없이 회사의 업무를 보고 있었다. 특정 api에 axios 요청을 한 후, react-query를 이용하여 받아온 res 값을 파싱하여 화면에 띄워주는 일을 하고 있었다. 요청을 정상적으로 보내고 응답도 제대로 와서 점 표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