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요약 - 기타 용어

김혁준·2024년 8월 22일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7/11

웹 관련 용어

Hypertext

다른 문서/그림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연결을 가지고 있는 텍스트

HTML

하이퍼텍스트 및 웹 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마크업 언어

URL

인터넷 상에서 특정 웹 페이지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문자열

MIME

이메일에서 텍스트 외 이미지/비디오/오디오 등 여러 유형의 파일을 전송 가능

웹 서비스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다른 컴퓨터 내 데이터나 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한 통신규약 프로토콜
XML 기반 메시지를 다른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

WSDL

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 (웹 서비스 기술언어)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XML 기반으로 기술
(서비스 제공 장소, 서비스 메시지 포맷, 프로토콜 등)

UDDI

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
전역 비즈니스 레지스트리 / 웹 서비스 관련 정보 공개 및 탐색
-> 웹 서비스 제공자가 UDDI라는 온라인 저장소에 자신들의 서비스를 등록/저장하고 소비자들을 그 저장소에 접근 후 원하는 서비스 탐색

인터페이스 구현 기술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HTML 문법의 비호환성과 SGML의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Javascript, XML을 이용한 비동기식으로 웹 페이지의 일부 컨텐츠만 Reload 해오는 방식 -> HTML 보다 다양한 작업을 웹 페이지에서 구현 가능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속성-값 쌍으로 이뤄닌 데이터 오브젝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
-> AJAX에서 많이 사용 / XML을 대체하는 주요 데이터 포맷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

xUnit

Java, C++, Net 등 다양한 언어 지원하는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

JUnit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용 유닛 테스트 프레임워크
같은 테스트 코드를 여러 번 작성하지 않게 함

STAF

서비스 호출, 컴포넌트 재사용 등 다양한 환경을 지원
크로스 플랫폼, 분산 소프트웨어 테스트 환경을 조성

Fitness

웹 기반 테스트케이스 설계/실행/결과 확인 지원

NTAF

STAF의 재사용 및 확장성 + Fitness의 협업 기능 통합(현재는 폐기됨)

Selenium

다양한 브라우저 및 개발 언어를 지원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테스트

watir

Ruby 언어 기반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프레임워크

트리 순회 방법

전위 순회(Pre-order)

위 -> 왼쪽 아래 -> 오른쪽 아래로 순회

중위 순회(In-order)

왼쪽 아래 -> 위 -> 오른쪽 아래로 순회

후위 순회(Post-order)

왼쪽 아래 -> 오른쪽 아래 -> 위로 순회

클라우드 서비스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물리적 자원(서버/네트워크/스토리지)를 가상화

Paas

Platform as a Service
응용프로그램 개발 시 필요한 플랫폼(OS/미들웨어/런타임) 제공

Saas

Software as a Service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데이터/앱)을 가상화하여 제공

Baas

Blockchain as a Service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개발/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Secass

Security as a Service
여러 모델의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으로 보안 서비스를 제공

Daas

Desktop as a Service
각종 업무용 운영체제/SW등을 클라우드 방식으로 제공(재택근무 활용)

Faas

Function as a Service
사용자가 앱 개발 및 런칭에 관련한 하부 구조의 복잡한 빌드, 유지보수없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개발,실행,관리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한 개의 디스크처럼 관리하는 기술(서버에 주로 사용)
데이터 안정성 높고 복구 용이함, 빠른 전송 속도
Level값이 클수록 저장장치 높은 신뢰성/효율성
스트라이핑 :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분할하여 저장 -> 하나라도 손상 시 데이터 복구 불가
미러링 : 데이터를 2개의 디스크에 동일하게 저장 -> 한 쪽 손상 시 다른 쪽 이용하여 복구 가능

RAID 0

스트라이핑 방식 / 중복 저장 X, 에러 검출 X

RAID 1

미러링 방식 / 중복 저장 O, 높은 신뢰도

RAID 2

스트라이핑 방식 / 해밍코드 활용 에러 검증

RAID 3

스트라이핑 방식 / 패리티(8bit)를 에러 검증,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 저장

RAID 4

RAID3과 동일하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나눠 저장

RAID 5

스트라이핑 방식 / 패리티 블록을 각 디스크마다 분산 저장

RAID 6

스트라이핑 방식 / 패리티 블록을 이중 구조로 구축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기업 내 운영되는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전달, 연계, 통합 수행
Point to Point, Hub&Spoke, Message Bus, Hybrid 형태로 구성

FEP

Front-End-Processor
입력 데이터를 프로세스가 처리하기 전에 미리 처리하여 프로세스 처리 시간을 줄여주는 프로그램

디지털 저작권 관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콘텐츠 제공자/분배자/소비자, 패키저(배포가능한 형태로 암호화하는 프로그램)
클리어링 하우스(Clearing House) : 사용 권한, 라이선스 발급, 결제 관리
DRM 컨트롤러 : 배포된 콘텐츠의 이용 권한을 통제하는 프로그램
보안 컨테이너 : 컨텐츠 원본을 안전하게 유통하기 위한 전자적 보안 장치
-> 기술 요소 : 암호화 / 키 관리 / 식별 기술 / 저작권 표현 / 암호화 파일 생성 / 정책 관리 / 크랙 방지 / 인증

UNIX / LINUX 기본 명령어

cat : 파일 내용을 화면에 표시
chdir : 현재 사용할 디렉터리 위치 변경
chmod : 파일의 보호 모드 설정
chown : 소유자 변경
cp : 파일 복사
exec : 새로운 프로세스 수행
fork : 새로운 프로세스 생성
fsck : 파일 시스템 검사/보수
getpid : 자신의 프로세스 아이디 호출
getppid : 부모 프로세스 아이디 호출
ls : 디럭터리 내 파일 목록 확인
rm : 파일 삭제
wait : 상위 프로세스가 하위 프로세스 종료 등의 event 기다림

SPICE 6단계

소프트웨어 처리 개선 및 능력 평가 기준. Sofr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rermination

1)불완전

프로세스가 구현되지 않거나 목적 달성 불가

2)수행

목적은 달성하지만, 계획/축적 불가

3)관리

프로세스 수행이 계획되고 관리됨

4)확립

표준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계획/관리

5)예측 가능

표준 프로세스 능력에 대해 정량적 이해/성능 예측

6)최적

정의된 프로세스와 표준 프로세스가 지속적으로 개선

IT 용어

Stack guard

Stack 상 일정 주소 번지에 프로그래머가 유도하는 Canary를 심고, 스택이 붕괴/변조된 경우에 오버플로우 상태로 가정하여 Canary 체크 후 프로그램 실행을 비정삭적으로 중단시키는 방법

Docker

컨테이너 기술을 자동화하여 쉽게 사용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SW 컨테이너 안에 응용 프로그램 배치 자동화 역할

Cipher Container

JAVA에서 암호화/복호화 기능을 제공하는 컨테이너

Scytale

암호화 기법으로 문자열의 위치를 바꾸는 방법

Tensor Flow

2015년 공개된 구글 브레인 팀의 기계 학습 오픈소스 SW Library

One Seg

일본/브라질에 상용 중인 디지털 TV 방송 기술

Foursquare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PasS-Ta

국내 IT 서비스 경쟁력 강화 목적으로 개발된 개방형 클라우드
인프라 제어, 관리/실행/개발/서비스/운영 환경으로 구성

VLAN

물리적 배치와 상관없이 논리적으로 LAN 구성하는 기술
접속된 장비들의 성능 향상 / 보안성 중대 효과

SSO(Single Sign On)

한 번의 로그인으로 다른 사이트 로그인도 허용하는 시스템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TCP/IP 기반 네트워크에서 발행-구독 기반의 메시징 프로토콜
푸시 기술 기반 경량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IBM 개발 주도)

Salt

동일한 패스워드들을 다른 암호 값으로 저장되도록 덧붙이는 무작위의 값
-> 같은 패스워드임에도 다른 결과 산출

N-screen

N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동일 컨텐츠를 자유롭게 이용

ASLR

Address Space Layout Randomization
프로그램 실행마다 스택/힙/라이브러리 주소를 랜덤화하여 공격자로 하여금 메모리 상 주소 예측을 어렵게 함

Router

서로 다른 네트워크 대역에 있는 호스트를 상호 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네트워크 장비

nmap

서버에 열린 포트 정보를 스캐닝하여 보안취약점을 찾는 도구

Tripwire

크래커가 침입하여 백도어를 만들어 놓거나 설정파일을 변경했을 때 분석하는 도구

Smart Grid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전력망 지능화, 고도화함으로써 고품질의 전력서비스를 제공하고 에너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

SOA(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구성 계층 : 표현 / 업무 프로세스 / 서비스 중간 / 애플리케이션 / 데이터 저장

Digiral twin

물리적 사물을 가상화하여 실제 자신의 특성 정보를 구현 -> 자산 최적화 / 돌발 사고 최소화 / 생산성 증가

Mashup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SW 제작

Mesh Network

차세대 이동통신, 홈네트워킹 등 특수 목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 / 대규모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

PICONET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