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리덕스 사가를 적용하려고 제네레이터를 공부하게 되었습니다.~!\~~제너레이터(Generator) 함수는 이터러블을 생성하는 함수이다.제너레이터 함수를 사용하면 이터레이션 프로토콜을 준수해 이터러블을 생성하는 방식보다 간편하게 이터러블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
Promise 객체는 비동기 작업이 맞이할 미래의 완료 또는 실패와 그 결과 값을 나타냅니다.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Promise프로미스가 생성
Prototype 많은 글들이 protype을 설명할 때 class의 상속을 섞어서 설명한다 > prototype != 상속 자바스크립트에서 복사를 통한 상속은 없다. > prototype은 클래스, 객체의 내용 복사 없이도 상속을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이다.
JavaScript는 단일 쓰레드 프로그래밍 언어이므로, 단일 호출 스택이 있음. 이는 한번에 하나의 일(Task)만 처리할 수 있다는 뜻.출처 -https://www.zerocho.com/category/JavaScript/post/597f34bbb42853
기본형과 참조형NumberStringBooleannullundefinedObjectArrayFunctionRegExp실행 콘텍스트 실행 컨텍스트는 실행될 때 생성된다!! book()함수가 호출되면 엔진 컨트롤이 함수 안으로 이동point 변수를 선언. ⇒ funt
렉시컬 스코프는 함수를 어디서 호출하는지가 아니라 어디에 선언하였는지에 따라 결정된다.스코프 체인 -제로초 - https://www.zerocho.com/ 블로그참조 바로 전역변수와 지역변수의 관계에서 스코프 체인(scope chain)이란 개념이 나옵니다.
프로세스 - 운영체제 위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ex)사진 뷰어, 음악 프로그램은 각각의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다. 프로세스 쓰레드 프로세스는 메모리 위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메모리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말함 각각의 프로세스는 저마
버블링(bubbling)의 원리는 간단합니다.한 요소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 요소에 할당된 핸들러가 동작하고, 이어서 부모 요소의 핸들러가 동작합니다. 가장 최상단의 조상 요소를 만날 때까지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요소 각각에 할당된 핸들러가 동작합니다거의 모든 이벤트
연산자\+연산자 \- "더하기 연산"과 "문자열 연결 연산"을 수행 \- 모두 숫자일 경우에만 더하기 연산이 수행, 나머지는 문자열 연결 연산typeof 연산자동등 연산자와 일치 연산자== : 비교대상의 타입이 다른 경우, 타입변환을 한 이후 비교를 함.==
var변수를 한번 더 선언했지만, 에러가 나지 않고 각기 다른 값이 출력됨.코드량이 많아질 경우에, 어디에서 사용되는지 알기 어렵고, 어디서 사용되는지 파악이 어려움.letname이 이미 선언되어있다는 에러 메시지가 나옴(const도 동일)변수 재선언이 되지 않음.co
기본 타입(원시 타입) Number(숫자), String(문자열), boolean(논리값), undefined, null, symbol 원시 타입 데이터는 데이터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불변 값 정의되어있다숫자(Number) 자바스크립트는 타입이 없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