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JS] - 순열과 조합 구현 (자바스크립트)

sehannnnnnn·2022년 8월 29일
7
post-thumbnail

코딩테스트 문제를 풀어보며 순열과 조합등을 이용해야하는 문제들을 자주 만났다.

그럴 때마다 구현 방법을 자주 잊어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정리해보자.

순열 (Permutation) - nPm

순열은 쉽게 말해 순서가 있는 정렬을 만드는 경우의 수를 의미한다.

[a,b,c] 배열 내의 요소 모두를 줄 세우는 방법은 수학시간에 배웠듯 3! 의 경우의 수가 있다.

[a,b,c], [a,c,b], [b,a,c], [b,c,a], [c,a,b], [c,b,a]
총 3! = 6개의 경우의 수가 있음

어떤 배열이 주어질 때, 배열 내의 원소들의 순열조합을 반환하는 함수를 구현해보자.

먼저 순열을 나열하기 위해선 순차적으로 [a,b,c] 중 첫번째 오는 원소를 고르고, 그 이후 두번째 오는 원소를 배열 속 나머지 원소 중 골라야한다. 이후 세번째 오는 원소는 아직 선별되지 않은 원소 중 하나를 또 골라야한다.

순열을 만드는 자연스런 방법 속에서 우린 재귀적으로 한 행동이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배열 중 한 원소를 뽑고, 그 이후 나머지 원소들이 다음 뽑힐 수 있는 후보로 넘겨주는 것이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잔여 배열에 원소를 하나씩 조회하며 선별 배열에 두고 -> 남겨진 잔여배열을 초기에 원본배열이라 생각하면, 규칙이 보이기 시작할 것이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1, 2, 3 은 같은 로직이 반복되고 있다. 이를 재귀함수로 구현 할 수 있고, 종료조건은 잔여 배열의 길이가 0이거나, 선별배열의 길이가 원본배열과 같을 때로 한다.

순열 의사코드

  1. 선별배열은 빈배열, 잔여배열을 원본배열로 생각한다.
  2. 잔여배열 내의 원소를 하나씩 순회하며.forEach(value =>
    • 선별배열에 조회된 원소(value) 를 넣는다.
    • 잔여배열을 선별된 원소가 제외된 잔여배열로 재정의한다.
    • 1-2 까지의 과정을 하나의 함수로 만들어 재귀함수를 호출한다. 새로운 선별배열, 잔여배열을 인자로 받도록한다!
  3. 만약 잔여배열이 하나도 남지 않게 된다면, 재귀호출을 종료 하고 조회가 가능하도록 외부 output 배열에 기록한다.
그대로 한 종료지점까지 따라가 보면
1. 선별 [a] 잔여 [b,c]
1-1. 선별 [a,b] 잔여 [c]
1-1-1. 선별 [a,b,c] 잔여 [] => 순열 하나 완성
1-2. 선별 [a,c] 잔여 [b]
1-2-1. 선별 [a,c,b] 잔여 [b] => 순열 둘 완성
2. 선별 [b] 잔여 [a,c]
2-1. 선별 [b,a] 잔여 [c]
2-1-1. 선별 [b,a,c] 잔여 => 순열 셋 완성
2-2. 선별 [b,c] 잔여 [a]
2-2-1. 선별 [b,c,a] => 순열 넷 완성
......

요런 방식으로 모든 순열의 조합들을 output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순열 함수 코드

//순열 구하기
const permutation = (permu, rests, output) => {
    if (rests.length == 0) {
        return output.push(permu);
    }
    rests.forEach((v,idx) => {
        const rest = [...rests.slice(0,idx), ...rests.slice(idx+1)]
        permutation([...permu,v], rest, output);
    })
}

const output = [];
permutation([], ['a','b','c','d'], output);
console.log(output);
  • 잔여 배열에 해당하는 것이 매개변수 rests이며 선별 배열에 해당하는 것이 매개변수 permu이다.

console.log(output); 의 결과값

만약, 원소를 모두 나열한 것이 아닌 특정 n개 원소의 순열을 원한다면, 위 코드에서 종료조건을 수정해주면 순열에 길이를 특정할 수 있다.

종료 조건이 rests.length == 1 일 경우,
잔여배열이 1이 되면 재귀를 멈추기 때문에 전체 배열 길이 4-1에 해당하는 길이의 순열을 얻을 수 있다.

조합 (Combination) - nCm

조합에 경우 이전 순열에 코드에서 한부분만 변형 시켜주면 간단히 구현 할 수 있다.

이 둘에 차이는 잔여 배열을 남기는 방법에서 있는데,

순열에 경우 [a,b,c,d] 배열이 있을 경우 a 를 선택하면 [b,c,d]가 잔여 배열로 남고 b를 선택하면 [a,c,d] 가 남고, 이런 식으로 이전 잔여배열에서 선택한 것만 제거한 배열을 남기지만

조합에 경우 [a,b,c,d] 배열이 있을 경우 a를 선택하면 [b,c,d]가 잔여 배열로 남고 b를 선택하면 [c,d]만을 남긴다. c를 선택할 시 [d] 만을 잔여배열로 남기면 된다.

조합에 경우 a,b,c,d 나 b,a,c,d 를 동일하게 보기 때문에 (순서가 중요하지 않음) b를 뽑은 조합에 경우 a를 잔여배열로 남기지 않을 경우 [a,b,c,d] 와 [b,a,c,d] 등에 중복된 경우에 수를 제거할 수 있다.

조합의 의사코드

  1. 선별배열은 빈배열, 잔여배열을 원본배열로 생각한다.
  2. 잔여배열 내의 원소를 하나씩 순회하며.forEach(value =>
  • 선별배열에 조회된 원소(value) 를 넣는다.
  • 잔여배열을 선별된 원소의 인덱스 뒤 부분을 잔여배열로 재정의한다.
  • 1-2 까지의 과정을 하나의 함수로 만들어 재귀함수를 호출한다. 새로운 선별배열, 잔여배열을 인자로 받도록한다!
  1. 만약 선별된 배열이 특정 length를 달성 시, 재귀호출을 종료 하고 조회가 가능하도록 외부 output 배열에 기록한다.

조합 함수 코드

const combination = (comb, rests, output) => {
    if (comb.length == 0) {
        return output.push(comb);
    }
    rests.forEach((v,idx) => {
        // const rest = [...rests.slice(0,idx), ...rests.slice(idx+1)]
        const rest = rests.slice(idx+1);
        combination([...comb,v], rest, output);
    })
}

const output = [];
combination([], ['a','b','c','d'], output);
console.log(output);
profile
FE 개발자 준비생 블로그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