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ter, map, forEach 같은 메서드는 사용방법도 꽤나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이해가 쉬운데, 그에 반해 Reducer는 콜백 부분이나 동작이 이해가 잘 안되어 블로그 글을 남긴다. 리듀서(reducer)는 배열의 내장함수(메서드) 중 하나로 누적값을 계산하는
자바스크립트에는 변수를 선언하기위해 3개의 키워드가 존재한다. var : ES6 이전 변수 선언 키워드let : 재할당이 가능한 변수를 선언하기 위한 키워드const: 재할당이 불가능한 상수를 선언하기 위한 키워드입문 단계에선 요 3가지로 구분을 했다만, 각각의 차이
스코프 (scope)는 '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자바스크립트 뿐만 아니라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스코프(scope) 란 말이 쓰이는데, 스코프는 스코프 : 변수또는 함수의 식별자가 사용되는 유효범위라고 정의 할 수 있다.위 예시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했을 때,
코딩테스트 문제를 풀어보며 순열과 조합등을 이용해야하는 문제들을 자주 만났다. 그럴 때마다 구현 방법을 자주 잊어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정리해보자. 순열 (Permutation) - nPm 순열은 쉽게 말해 순서가 있는 정렬을 만드는 경우의 수를 의미한다. [a
함수는 수학적으로 생각했을 때 입력 값 x를 넣으면 출력값 y를 반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일이 필요한 경우 프로그래밍에서는 함수로 만들 수 있다. 함수란 코드의 묶음기능의 단위입력과 출력간의 매핑반환값이 존재한다. 아래에 코드는 함수의 선언(dec
변수는 이름(Label)이 붙은 값이다. 변수명엔 공백을 쓸 수 없음!아래 코드는 선언에 해당한다.선언이 수행되면,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주소를 확보하고 변수명(Label)을 붙힌다. 아래 코드는 할당에 해당한다.할당이 수행되면, 선언을 통해 확보된 특정 메모리
프로퍼티 정의는 새로운 프로퍼티를 추가하면서 프로퍼티의 어트리뷰트를 명시적으로 정의하거나, 기존 프로퍼티의 프로퍼티 어트리뷰트를 재정의 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의 객체정의 방법으로는 프로퍼티의 어트리뷰트까지 사용자에 맞게 정의 할 수 없다.내가 만든 객체의 프로퍼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