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 (검색엔진최적화) : 웹사이트와 웹페이지를 검색엔진이 쉽게 발견(discovery)하고, 읽어가서(crawling), 색인하고(indexing), 상위 노출(ranking) 시켜 자연 유입되는 트래픽의 양과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관련 검색 알고리즘의 특성을 고려해서 웹사이트의 구조나 콘텐츠를 개선하는 일련의 작업을 말한다.
Accessibility (웹 접근성) :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차별 및 제한 없이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장애인 및 고령자 등을 포함한 모든 사람 / 다양한 플랫폼 및 장치, 웹 브라우저 등의 모든 환경
For us, Maintainability (개발자들을 위해서) : 한눈에 어떻게 웹사이트가 짜여져 있는지 알아볼 수 있기 위해, 즉 가독성 향상.
-유지보수성도 더 높여서 짤 수 있다
🧷 코드 비교
None-semantic tag<body> <div class="header">Header 영역</div> <div class="nav"> <ul> <li>Menu1</li> <li>Menu2</li> <li>Menu3</li> <li>Menu4</li> </ul> </div> <div class="main">Content 영역</div> <div class="footer">Footer 영역</div> </body>semantic tag
<body> <header>Header 영역</header> <nav> <ul> <li>Menu1</li> <li>Menu2</li> <li>Menu3</li> <li>Menu4</li> </ul> </nav> <main>Content 영역</main> <footer>Footer 영역</footer> </body>= 훨씬 가독성이 좋아진다

<article> : <main> 안에 있는 내용들과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고유한 정보를 나타낼 때 사용.
<section> : <article>, <main> 또는 아무곳에서 연관있는 내용을 묶어줄 때 사용.
<i> : 시각적으로만 이탤릭체 (ex: 인용구)
<em> : 강조하는 이탤릭체 (ex: 책의 제목)
<b> : 시각적으로만 볼드체
<strong> : 정말 중요한 볼드체
목록을 나타낼 수 있는 태그들
<ol> : 순서가 중요한 목록을 나타낼 때 사용 / 보통 숫자목록으로 표현
<ul> : 순서가 없는 단순한 목록을 나타낼 때 사용 / 보통 불릿으로 표현
<dl> : 어떤 한 단어에 대해서 설명이 묶여있을 때 사용 / <dt>로 표기한 용어와 <dd> 요소로 표기한 설명 그룹의 목록을 감싸서 설명 목록을 생성
👾 주의사항
- <dl> 태그는 하나이상의 <dt>-<dd> 쌍의 태그를 갖고 있어야한다.
단, <dt>-<dd> 태그가 반드시 하나의 짝으로 지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li>,<dt>-<dd> 태그는 밖에서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img> : 사진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해서 문서안에 포함되도록 만들때 사용
CSS : background-image : 이미지가 없어도 문서와 상관없고, 스타일링 목적일 때 사용
<button> : 클릭 가능한 버튼 / 버튼을 클릭했을 때, 특정한 행동을 취하게 하기 위해 사용
<a> : 클릭 했을 때, 어디론가(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때 사용
<table> : 행과 열로 이루어진 표를 나타냄 / 정말 많은 데이터의 양을 (행+열)을 이용할 때 사용
CSS : 단순한 그리드를 표현하고 싶을 때 (flex, grid)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