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 SE는 일반 PC, 서버, 고사양 시스템 들을 위한 표준 자바 플랫폼이다. 표준의 개발 환경을 지원하는 자바 가상 머신 규격 및 API를 포함한다.즉 자바 언어라고 하는 대부분의 패키지가 포함된 에디션이다.우리가 잘 자주 사용하게 될 java.lang.\
💡 리터럴(literal)이란 변하지 않는 데이터 그 자체를 말한다. 상수와 혼동할 수 있지만 상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상의 공간을 의미하고, 리터럴은 고정된 값 자체를 의미한다.0 (8진수는 리터럴 앞에 접두사 0을 쓴다)0x (16진수는 리터럴 앞에 접두사
💡 프로그래밍 중에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만드는 것을 연산(operation)이라고 한다.이 연산 과정에 사용되는 기호 또는 부호를 연산자(operator) 라고 한다.연산되는 데이터는 피연산자(operand)라고 한다.연산식에 사용되는 연산자가 둘 이상일 때,
💡 메소드(method)는 어떤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자세한 메소드 사용법은 객체 부분에서 다루게 되니 지금은 호출 흐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자.중복되는 코드를 메소드로 만들어 코드의 반복 사용을 피할 수 있다.코드의 가독
조건문 > >💡 조건문은 “조건식”을 통해 특정 코드를 실행할지 말지를 제어해주는 구문이다. >특정 조건식의 결과가 참이라면 조건문 내부의 코드를 실행한다. >조건식은 true, false같이 boolean형 타입을 반환해주는 식을 말한다. > 한 가지 예를 들어
배열 배열 정의 및 사용 이유 배열이란? > > 💡 동일한 자료형(Data Type)의 묶음이다.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값을 저장하고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 배열은 heap 영역에 new 연산자를 통해 할당된다. > 또한 배열의 길이는 최초 선언한
💡 서로 다른 타입의 데이터와 메소드를 정의하여 사용자 정의의 타입을 만들 수 있는데, 이것을 클래스라고 한다. 즉, 클래스는 사용자 정의의 자료형이다.💡 캡슐화는 유지보수성 증가(낮은 결합도)를 위해 필드의 직접 접근을 제한하고, public 메소드를 이용하여 간
💡 부모 클래스가 가지는 멤버(필드, 메소드)를 자식 클래스가 물려 받아 자신의 멤버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기술이다.(단, 생성자는 물려 받지 않음)멤버 외에도 부모 클래스의 타입 또한 상속이 된다.(다형성의 토대)자바는 단일상속(자식 클래스는 하나의 부모
💡 하나의 인스턴스가 여러 가지 타입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타입으로 여러 타입의 인스턴스를 처리할 수 있기도 하고, 하나의 메소드 호출로 객체별로 각기 다른 방법으로 동작하게 할 수 도 있다.다형성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3대 특징(캡
💡 자바에서 Object 는 최상위 부모 클래스이다. Object 클래스에는 다양한 메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클래스는 Object 클래스를 상속하고 있으므로 Object 안에 있는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다.또한 Object 클래스가 가지는 메소드를 오버라이딩 해
💡 오류(Error)와 예외(Exception)오류: 시스템 상에서 프로그램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여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것을 말하며 개발자가 미리 예측하거나 코드로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 한 경우를 말한다.(ex: JVM 에러, 정전, 컴퓨터 자체 하드웨어적
💡 Input과 Output의 약자로 컴퓨터 내부 또는 외부 장치와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를 연동을 위한 자바 라이브러리이다.단방향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스트림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게 된다.💡 입출력 장치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기 위한 단방향 통로로 자바에
💡 제네릭은 데이터의 타입을 일반화한다는 의미를 가진다.제네릭스를 활용하는 제네릭 클래스는 제네릭 타입(T, E, K, V)을 활용하여 하나의 클래스로 해당 제네릭 타입에 변화를 줘서 제네릭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다양한 타입을 지닌 인스턴스로 활용할 수 있다.💡 하나
💡 열거타입(enum) 이란 관련이 있는 상수의 집합의 클래스를 의미한다. 각각의 열거 상수는 열거 객체로 생성된다.자바 1.5 이후 새롭게 추가되었으며 기존의 상수를 정의하는 방법을 효과적으로 대체해준다.상수란?상수는 변하지 않는 수이다. 예를 들어 하루는 24시간
🪄 람다식은 JAVA 8 버전에 새로 추가된 기능으로 메소드를 하나의 식(expression)으로 표현한 것이다.메소드를 람다식으로 표현하면 메소드 이름과 리턴값이 없어서 익명 함수라고도 할 수 있다.람다식은 알론조 처치(Alonzo Church) 라는 수학자가 19
💡 스트림(Stream)은 자바 8 부터 추가된 기능으로, 컬렉션에 저장된 엘리먼트들을 하나씩 순회하면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다. 람다식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컬렉션에 들어있는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또한 내부 반복자를 사용하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