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류 | 연산자 |
---|---|
산술 연산자 | +, -, *, /, %, //, ** |
할당 연산자 | =, +=, -=, *=, /=, %=, //= |
비교 연산자 | >, >=, <, <=, ==, != |
논리 연산자 | and, or, not |
나머지와 몫을 한 번에 구할 수 있다.
예시 코드는 다음과 같다.
result = divmod(num1, num2)
print('result: {}.foramt(result))
print('몫: {}'.format(result[0]))
print('나머지: {}'.format(result[1]))
[출력]
result: (3, 1)
몫: 3
나머지: 1
mtah 모듈의 sqrt()함수를 이용하면 제곱근을 구할 수 있다.
예시 코드는 다음과 같다.
import math
print('4의 제곱근 %.2f' % math.sqrt(4))
math 모듈의 pow()함수를 이용하면 거듭제곱을 구할 수 있다.
예시 코드는 다음과 같다
import math
print('2의 3제곱 %f' % math.pow(2, 3))
연산자 | 설명 |
---|---|
+= | 덧셈 연산 후 할당 |
-= | 뺄셈 연산 후 할당 |
*= | 곱셈 연산 후 할당 |
/= | 나눗셈 연산 후 할당 |
%= | 나머지 연산 후 할당 |
//= | 몫 연산 후 할당 |
**= | 거듭제곱 연산 후 할당 |
연산 결과는 bool(True, False) 이다.
연산자 | 의미 |
---|---|
> | 크다 |
>= | 크거나 같다 |
< | 작다 |
<= | 작거나 같다 |
== | 같다 |
!= | 같지 않다 |
아스키 코드를 이용하여 비교 연산을 한다.
문자와 아스키 코드를 변환하는 방법은 ord()와 chr()가 있고 예시 코드는 다음과 같다.
print('\'A\' -> {}'.format(ord('A')))
print('65 -> {}'.format(chr(65)))
[출력]
'A' -> 65
65 -> A
문자열은 대소문자도 구분하며, 문자가 하나라도 다르다면 서로 같지 않다고 출력한다.
피연산자의 논리(True, Flase)를 이용한 연산이다.
산술 연산자 관련 함수
연산자 | operator 함수 |
---|---|
+ | operator.add() |
- | operator.sub() |
* | operator.mul() |
/ | operator.truediv() |
% | operator.mod() |
// | operator.floordiv() |
** | operator.pow() |
비교 연산자 관련 함수
연산자 | operator 함수 |
---|---|
== | operator.eq() |
!= | operator.ne() |
> | operator.gt() |
>= | operator.ge() |
< | operator.lt() |
<= | operator.le() |
** | operator.pow() |
논리 연산자 관련 함수
연산자 | operator 함수 |
---|---|
and | operator.and_() |
or | operator.or_() |
not | operator.not_() |
* 이 글은 제로베이스 데이터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