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read(), close() 함수를 이용해 텍스트 파일을 다룬다.
write() 함수를 이용한 파일에 문자열 쓰기
read() 함수를 이용한 파일 문자열 읽기
파일 모드는 파일을 어떤 목적으로 open 할지 정한다.
'w' : 쓰기 전용 (파일이 있으면 덮어씌움)
'a' : 쓰기 전용 (파일이 있으면 덧붙임)
'x' : 쓰기 전용 (파일이 있으면 에러 발생)
'r' : 읽기 전용 (파일이 없으면 에러 발생)
with ~ as문을 이용하면 파일 닫기(close)를 생략할 수 있다.
리스트(List) 또는 튜플(Tuple) 데이터를 파일에 쓰기 위한 함수이다.
파일의 모든 데이터를 읽어서 리스트 형태로 변환한다.
한 행을 읽어서 문자열로 반환한다.
# 파일에 저장된 과목별 점수를 파이썬에서 읽어, scoreDic에 저장하는 코드 만들기 scoreDic = {} uri = 'C:/pythonEx/' with open (uri + 'scoreDic.txt', 'r') as f: line = f.readline() while line != '': tmpList = line.split(":") scoreDic[tmpList[0]] = int(tmpList[1].strip('\n')) # strip()은 ()안에 있는 것을 잘라버린다. line = f.readline() print(f'점수:" {scoreDic}')
* 이 글은 제로베이스 데이터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