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과 캐싱

Robin·2022년 8월 14일
0

개발상식

목록 보기
6/13

CDN과 캐싱(caching)

React의 SPA 원리를 학습하며 접하게 된 CDN과 캐싱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AWS의 설명들을 내 방식대로 이해하기 쉽게 작성해보았으니, 자세한 내용들은 각 링크를 참고할 것!

CDN: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요청한 서버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동영상이나 이미지 같은 대용량을 로드하는데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ex) 넷플릭스의 경우, 본래 서버인 북미로 요청

이때 지리적으로 가까운 CDN 서버에 웹 사이트 콘텐츠를 저장해서 컴퓨터에 더 빨리 가져 올 수 있게 한다.
(ex) 북미는 너무 멀어. 일본 도쿄에 복사본 저장해둠.

  • 대기시간/통신지연을 줄여준다: 물리적으로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고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중간 서버를 둬서 효율성을 높인다.

캐싱

데이터를 더 빨리 받아오려고 동일한 데이터 복사본 저장하는 프로세스

따라서 이후에 해당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다시 있을 때, 기존 스토리지에서 받아올 때 보다 더 빠르게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 cdn에서의 캐싱: 정적 콘텐츠를 저장하는 프로세스

  1.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웹 사이트 방문자는 사이트에서 정적 웹 콘텐츠를 처음 요청합니다.
  2. 요청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오리진 서버에 도달합니다. 오리진 서버는 원격 방문자에게 응답을 보냅니다. 또한 해당 방문자와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CDN POP에 응답 복사본을 보냅니다.
  3. CDN POP 서버는 복사본을 캐싱된 파일로 저장합니다.
  4. 다음에 해당 방문자 또는 해당 위치에 있는 다른 방문자가 동일한 요청을 하면, 오리진 서버가 아닌 캐싱 서버가 응답을 보냅니다.
profile
Always testing, sometimes dog walking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