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on server는 빠르고 쉽게 rest api를 구축해준다.
npm install -g json-server는 Node Package Manager (NPM)을 사용하여 json-server라는 패키지를 전역으로(global) 설치하라는 명령어입니다.
json-server는 로컬 컴퓨터에서 가상의 REST API를 생성하는 도구입니다. 이를 사용하면 JSON 파일을 데이터 소스로 사용하여 빠르고 간단하게 RESTful API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g는 전역 설치를 의미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해당 패키지를 어느 위치에서나 실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npm install -g json-server 명령어는 json-server 패키지를 전역으로 설치하겠다는 의미입니다.
json-server --watch ./src/db/data.json --port 3001 명령어는 json-server 패키지를 사용하여 로컬 서버를 실행하고, ./src/db/data.json 파일을 데이터 소스로 사용하라는 의미입니다. 또한, 서버를 3001 포트에서 실행하라는 의미입니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json-server: 로컬 서버를 실행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json-server 패키지가 로드되어 서버가 시작됩니다.
--watch ./src/db/data.json: json-server가 감시해야 할 파일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src/db/data.json 경로의 파일을 데이터 소스로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이 파일은 JSON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야 합니다.
--port 3001: 서버를 실행할 포트 번호를 지정합니다. 3001 포트에서 서버를 실행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http://localhost:3001 주소를 사용하여 서버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json-server --watch ./src/db/data.json --port 3001 명령어를 실행하면 로컬 서버가 시작되고, ./src/db/data.json 파일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RESTful API를 제공하게 됩니다.
REST API
Create
Read
Update
Delete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는 웹 서비스를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 중 하나입니다. RESTful API는 HTTP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처리하는 웹 서비스를 설계하는 방법론입니다.
RESTful API는 자원(Resource)을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표현하고,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를 사용하여 해당 자원에 대한 작업(CRUD)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이 단순하고 일관성 있게 처리될 수 있습니다.
RESTful API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 웹 인프라를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클라이언트가 RESTful AP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요청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분리로 인해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자원(Resource) 중심적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유지보수와 확장이 쉽습니다.
따라서, RESTful API는 웹 서비스를 구축하는데 유용한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뭔 말인지 확 와닿진 않음. 차차 더 잘 알게되겠지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