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KS] Amazon VPC CNI란? EKS에서의 VPC CNI

vinca·2024년 1월 31일
0

🦓 EKS

목록 보기
6/23
post-thumbnail

Introduction

EKS 클러스터 구성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해하기 위한 첫 번째 관문인 Amazon VPC CNI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Amazon VPC CNI란?

Amazon EKSAmazon VPC CNI 플러그인을 통해서 클러스터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합니다.

일반적으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CNI로 거두되는 CalicoFlannel과는 다른 AWS에서 제공하는 특별한 네트워크 환경이죠.

하는 역할도 기존 CNI로 사용하던 오픈소스 CNI들과 다를 바 없습니다. 당연하게도 IP주소를 관리하는 역할이죠.

즉, Amazon VPC CNI는 AWS의 VPC 내에서 실행되는 각 Kubernetes 컨테이너에게 고유한 IP 주소를 할당하는 역할을 합니다.

VPC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노드에 Amazon VPC CNI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aws-node라는 이름의 DaemonSet이 생성되어 동작되게 됩니다.

aws-nodeL-IPAM(Local IP Address Manager)CNI 플러그인으로 구성됩니다.

L-IPAM은 인스턴스의 메타데이터를 확인하여 사용가능한 ENI와 Secondary IP 주소 수(Slot 수)를 파악 합니다. 이를 통해서 L-IPAMWarm Pool이라는 사용가능한 Secondary IP 대역을 구성하게 됩니다.

사용 가능한 IP 수

사용 가능한 IP 수를 나타내는 건 바로 슬롯 입니다.

슬롯의 첫 번째에 들어가는 IP주소는 노드의 Primary IP 주소이며 나머지는 파드의 Secondary IP 주소입니다.

💡Primary IP / Secondary IP?
Primary IP는 노드의 IP를 말하고, Secondary IP는 노드 내 생성되는 파드의 IP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노드와 파드는 같은 IP 대역을 가지게 됩니다.

그림에서 한 ENI에 슬롯이 총 4개가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슬롯은 프라이빗 IPv4 주소 수와 동일합니다. AWS 공식 문서

이처럼 한 인스턴스가 가질 수 있는 최대 ENI의 수와 ENI에 할당가능한 Slot의 수를 통해서 파드가 사용가능한 Secondary IP 대역. 즉, Warm Pool이 결정됩니다.

ENI Slot과 Warm Pool

그럼 이러한 ENI의 슬롯에는 항상 미리 슬롯의 최대 수량만큼 IP가 채워져 있을까요?

정답은? 아닙니다.🙅🏻‍♂️

🧐 자 예시를 위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새로운 파드가 생성될 때를 생각해봅시다.

  1. kubelet은 API서버로부터 명령을 하달받아, 새로운 IP를 추가하도록 AWS VPC CNI에게 요청을 보내게됩니다.

  2. 명령을 받은 AWS VPC CNI는 L-IPAM에게 새로운 파드가 생길테니 새로운 IP를 요청합니다.

  3. IPAM은 자신의 Warm Pool에서 새로운 IP가져와 ENI의 Slot에 부착하면서 새로운 아이피가 생기고 이것이 파드에게 부여되는 것이죠.

만약 ENI 슬롯에 빈자리가 없다면?

그림에서의 ENI는 4개의 슬롯을 가지고있습니다.

그렇다면 4개의 슬롯을 모두 사용한 상태 즉, ENI의 IP가 이미 모든 파드에게 할당 되었다면 어떻게 될까요?

인스턴스의 유형에 따라서 가질 수 있는 ENI가 더 있는 경우, 새로운 ENI를 구성하여 ENI Slot에 IP 주소를 IPAM에서 가져와서 넣고 새로운 파드에 부여합니다.

결론

사실 실제로 해보게 되면 노드의 ENI의 최대슬롯 만큼 IPAM의 WarmPool에서 IP를 가져와 ENI의 슬롯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ENI 슬롯에 배치된 IP가 모두 사용되면 추가적인 ENI를 생성한다는 것입니다.

전체과정을 다시 오버랩 하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 이에 관한 파드 IP 최대 개수는
[EKS] Amazon VPC CNI에서의 최대 파드 개수를 참고.

Amazon VPC CNI 통신

이제 Amazon VPC 내에서 어떻게 통신이 이루어지는 지, 알아보도록 합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첫번째 Primary IP는 노드가 사용하고, 나머지 슬롯에 있는 Secondary IP들은 파드에게 할당되게 됩니다.

따라서 이처럼 3개의 노드에 각각의 파드가 위치한 경우, 각 노드의 ENI의 첫번째 주소는 노드가 사용하고 나머지 주소는 파드에게 부여되는 형태가 되겠죠.

또한 노드 내부의 파드끼리는 리눅스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가상 라우터로 서로 연결되어 통신하고 있습니다.

통신 흐름

여기서 Node1의 Pod A에서 Node3의 Pod B에 통신은 어떻게 일어날까요?

먼저 Pod A에서 내부 리눅스 네트워킹을 통해서 자신이 속한 Node1의 ENI까지 전달됩니다.

이후, Node1에서 Node3까지는 같은 VPC 대역 내에 있는 노드들이므로 AWS VPC를 통해서 전달되게 됩니다.

이후 노드에 도착한 뒤 내부 파드까지는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ENI)내 IP이므로 오버헤드없이 원활하게 전달되죠.

통신 테스트

실제로 통신을 테스트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로 다른 노드에 있는 파드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VPC 대역을 가지므로 별도의 오버레이 네트워크가 필요없습니다. 오버헤드 없이 전달되죠.

// 워커 노드1의 모든 인터페이스에 tcpdump 패킷 체크
ssh ec2-user@$N1

sudo tcpdump -i any -nn icmp
// 이후 파드1에서 파드2로 ping 핑 테스트
kubectl exec -it $PODNAME1 -- ping -c 2 $PODIP2


Calico CNI 통신

그럼 이번에는 AWS VPC CNI가 아닌 즉, AWS에서 쿠버네티스 구성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본인의 로컬 컴퓨터나, AWS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클러스터의 예입니다.

Calico나 flannel을 사용할텐데, 여기서는 Calico를 보자구요.
가장 큰 특징은 Calico는 노드에 부여되는 IP와 파드에 부여되는 IP가 다릅니다.

통신 흐름

먼저 Pod A에서 Pod E까지의 통신이 어떻게 작동하는 지 보겠습니다.

Pod A에서 전달 된 패킷은 리눅스 네트워크를 통해서 네트워크 인퍼테이스까지 전달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노드 간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간 (이전의 AWS VPC 구간)에서는 Pod E(10.0.2.1)의 아이피 대역이 없기에 어디로 보내야할 지 모르는 것이죠.

오버레이 네트워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사용합니다. (VXLAN 또는 IPIP)

오버레이 네트워크란 쉽게말해 패킷의 메인 IP 헤더에 추가적인 IP 헤더를 덧붙여서 전달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통해 ENI가 통신할 수 있는 헤더로 감싸서 보내는 것입니다. (이를 캡슐화라고 합니다.)

이렇게 캡슐화되어 Node3의 ENI에 도착한 패킷은 다시 역캡슐화하여 파드 E로 전달하게 됩니다.

End...

Amazon VPC를 사용하면 오버헤드가 더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Calico CNI의 어떤 모드를 사용하냐에 따라서 통신 흐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상 일반적으로 Amazon VPC CNI > Calico CNI는 아니라는 점 알아주시면 좋겠습니다.


Reference📎 | 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profile
붉은 배 오색 딱다구리 개발자 🦃Cloud & DevOps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