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변수, 함수

rocky35·2025년 3월 23일
1

개발입문

목록 보기
8/13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을 복기해 보면...

HTML = 웹 문서 구조를 만드는 마크업 언어
CSS = 웹 문서를 디자인하는 스타일시트 언어
JavaScript = 동적인 웹사이트를 만들어 주는 프로그래밍 언어?!

오늘은 JavaScript 중에서도 변수, 함수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

변수

변수는 컴퓨터와 개발자 사이에 새롭게 규정하는 명사이다.

예를들어, 이 사진에 대해서 명사로 규정하는 것!

let        image   =   'html실습';
//변수선언 //변수 //할당 //할당된 문자열

여기서 변수는 'image'
문자열은 'html실습' 이다.

이렇게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언어가 'let'

'=' 는 '같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 쓰는 연산자라는걸 꼭 기억하자!

함수

함수는 컴퓨터와 개발자 사이에 동사를 규정하는 작업이다.

함수 countLength 를 사용해서 예를 들어보자.

function countLength (string) {
	return string.length;
}

먼저 요소를 하나씩 살펴보자!

  • function 키워드 : 함수를 선언하는 키워드
  • countLength : 개발자와 컴퓨터가 약속한 함수 이름
  • (string) : 함수에서 사용할 변수, 외부에서 값을 전달하면 string에 값이 할당되어 함수 내부에서 사용
  • return 키워드 : 함수 내부의 코드가 실행된 후 결과를 반환 (return) 하는 키워드. 내부에서 반환한 키워드를 함수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음.
  • string.length : 외부에서 전달받은 문자열의 길이를 의미.

사과 & 바나나 문자열 길이로 보는 함수

//JavaScript 에서 주석은 '//'을 앞에 사용한다. 

//함수의 호출
countlength('사과');
//함수는 입력된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하는 함수여서 반환되는 값은 '2'이다. 
//이렇게 함수명 뒤에 ()를 붙이면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이 때 ()안에 값을 넣으면 이 값이 함수 안에서 매개변수 string에 할당, 
//즉 위와 같이 호출하면 함수 내부에서 string 사과가 되어 함수 내부의 코드에 실행된다.

//바나나도 할당하여 사과 + 바나나 문자열을 호출해보자.

function countLength (string) {
	return srting.length;
}

let appleCount = countLength('사과');
console.log(appleCount);

let bananaCount = countlength('바나나');
console.log(bananaCount);

console.log(aplleCount+bananaCount);

숫자 5 (2+3) 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편엔 변수와 함수를 이용하여 구구단을 해보자!

#오즈코딩 #베이스캠프

profile
It's about how hard you can get hit and keep moving forwar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