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JSP 수업은 이틀차다. 어제는 정말 뭐가 뭔지 하나도 모르겠는 상태였다면, 오늘은 진짜 큰일이라는 생각만 한가득이 들어요... 나 진짜 어떡하죠... HTML이 다시 등장했고, 나는 JAVA 마스터도 아닐뿐더러, 어려움의 벽이 너무 크게 느껴진다. HTML
자바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서버 소프트웨어(톰캣)를 통해서 관리된다. 서블릿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톰캣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가 필요!!!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요청(로그인)을 하면 웹 서버는 로그인 서블릿에 서블릿을 호출한다. 그럼 로그인
이미 학원에서는 응용...으로 쭉쭉 나아가고 있는데... 그래서 오늘은 정리 조금만 하고 PPT와 이클립스 수업 내용을 되짚어보는 방향으로 공부를 하려고 한다. 음... 그리고 배고파서 빨리 잘 거다... 건강검진이 내일이라 금식 시작했는데 벌써 배가 고프다. 눈물이가
jsp에서 객체 생성과 공유, 페이지 이동과 전달, 태그 파일 작성 등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일종의 커스텀 태그! 페이지 내에서 어떤 동작(action)을 하도록 지시하는 태그를 말한다! 자바의 재활용 가능한 컴포넌트 모델을 말한다. DO(Data Object)라고도
웹 서버(WAS)에서 객체 또는 변수가 생성된 후 유효할 수 있는 범위 page: 페이지 내에서 지역 변수로 사용 request: http요청을 WAS가 받아서 웹 브라우저에게 응답할 때까지 변수가 유지되는 경우session: 웹 브라우저 별로 변수가 관리되는 경우 사
빌드 도구 중 하나! 실무 프로젝트는 직접 작성해야 할 클래스와 사용할 외부 라이브러리가 많다. 소스코드를 체계적으로 컴파일하고 라이브러리 버전이나 관리를 쉽게 도와줄 도구가 필요한데!! MAVEN이 많이 쓰였고 현재는 GRADLE이 많이 쓰인다. 소스코드 파일을 컴퓨
하... 사실 앞부분도 어려운데... 여기가 진짜 레알 미쳐버리는 곳임... 진짜 너무 어렵다... 아직도 이해를 제대로 한 건지 뭔지 잘 모르겠다. 사실 JSP응용도... 다 내 지식이 아님... 정리만 해둔거지... 머리 속에 체계적인 정리따위 되어있지 않음...
view - productList.jsp / productInfo.jsp controller - ProductController.java model - Product.java(DO) (, ProductService.java) productList.jsp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