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한 내용 적기(NodeJS & AWS)-1

박경현·2022년 7월 21일
0

구름 클라우드 수업에 합격하면서 AWS를 미리 어느정도 개념을 알고 들어가면 좋을거 같아
바로 공부를 시작했다ㅎ

지금 내가 하는 공부는 3가지인데

  1. NodeJS로 서버 환경 이해 및 간단한 구성 할 수 있을정도의 실력 기르기
  2. AWS로 EC2부터 간단한 여러가지 구성요소들 개념 익히고 필요할때
    적재적소에 쓸 수 있는 실력 기르기
  3. 파이썬으로 백준 문제 풀어보기(실버1까지 안보고 풀어보는게 목표!!)

구름 수업이 시작전까지는 이 공부를 꾸준히 하며 나에게 승리 습관을 만들어볼것이다!

이기는 습관 만들기

  1. 전날보다 강의 1개씩 더 듣기 및 이해하기
  2. 깃허브 매일 채우기
  3. 블로그는 2일에 한번은 꼭 정리하기

NodeJS

파일들간 import를 어떻게 하는지, 노드 스탠다드 라이브러리는 무엇인지 기본데이터나 내장 객체를 알아보자

require

require = 모듈을 가져오는 방식중 하나 각 파일이 별개의 모듈로 취급!

module.require() === require() 같은 일을 함!

const {path, paths, filename} = module

  • path 는 이 파일의 위치 ,
  • filename은 지금 실행되는 파일 이름
  • paths는 어디에서부터 import를 할수있는지 전부 적어놓은거!

모듈을 가져오는 두가지 방식

모듈은 common 과 ecmascript(export import)방식이 있다

노드는 common방식인 require를 사용!
const animalA = require('./animals')
const animalB = require('./animals')

/* eslint-disable no-console  */
console.log(animalA === animalB) 
// 같은 객체다!! 즉 단 한개의 객체만 사용! 그리고 한번만 require한다!!

상대 경로 vs 절대 경로

const http = require('http')
이거는 상대경로가 아닌 절대경로!

node standard library에 있는 모듈은 절대경로를 지정해 가져온다ㅣ!

 프로젝트 내의 다른 파일은 상대경로를 지정해 가져온다
 

// node_modules안에 있으면 절대경로를 지정할수있다
module.paths의 경로중 하나에서 해당 모듈이 있는지 검사해서 가져온다!


차고로 paths 중에 먼저 나와있는곳에 파일이 있으면 그걸 가져온다!
점점 더 깊이 들어가는 node_modules일수록 파일 위치가 먼저 적혀있다!

mjs란

mjs는 ecmascript를 노드에서 쓸수있게 확장한 녀석이다.!
Export 와 import를 사용가능!

Export default animals => import animals from ‘./animals’

AWS

오늘은 간단하게 클라우드서비스 모델과 aws의 구조, IAM 만들어보기를 했다

어플리케이션의 구조 (이런 계층 구조로 되어있음)
어플리케이션
OS(Window, Linux)
Computing(cpu, Ram)
Storage(HDD,SDD)
Network(랜카드, 랜선)

Iass, Pass, Sass

Iass

Infra as a service

위에 적은 계층 구조 중에 Computing 파워 계층까지만 지원한다!
(진짜 컴퓨터 본체만 빌려준다고 생각하면 됨, 인프라만 제공!)

예시 - AWS의 EC2

Pass

Platform as a service

위에 적은 계층 구조 중에 OS계층까지만 지원!!
(이건 코드만 짜면 바로 런타임으로 돌릴 수 있다)
(인프라 + OS + 기타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부분(런타임))

예시 - 파이어베이스

Sass

Software as a service

모든 서비스 전부 제공
다른 세팅없이 서비스 이용할수 있다

예시 - Gmail, Slack등

리전, 가용영역, 엣지로케이션

리전 > 가용영역A, 가용영역B > 엣지 로케이션

  • 글로벌서비스 (리전에 안속해있는)
    IAM, amazon cloudFront, WAF, Route53

리전

아에 지역별로 나누기 때문에 가장 큰 단위로 나눈다
(리전마다 고유의 코드가 부여됨!)
서울(ap-northeast-2), 멕시코, 일본, 호주 등

  • 리전별로 가능한 서비스가 다르다! -> 미국 동부 버지니아 북부(US-east-1)는 전부 가능!!!!
  • 리전 서비스
    VPC S3(데이터 자치는 리전에 종속) , 대부분의 서비스

리전 선택시 고려할 점

지연속도 , 법률(데이터관련 ) 사용가능한 aws서비스

가용영역

리전안에 있는 실질적은 서버센터라고 생각하면 됨!
최소 2개 이상의 가용영역으로 구성
데이터 센터 건물임 반드시 물리적으로 몇 km 떨어져있어야함
리전간의 연결은 매우 빠른 전용 네트워크로 연결

내 계정의 가용영역이 실제 가용영역과는 다름 => 도난이나 해킹 방지를 위해 이렇게 설정했다고 함

  • 가용영역 서비스
    RDS EC2

엣지 로케이션

cloudfront(임시 데이터 보관 공간) 등의 여러서비스들을
가장 빠른속도로 제공(캐싱)하가 위한 거점

(우리가 일정기간동안 잠시 저장해놓는 데이터를 넣어놓기 유용!)

피드백

이렇게 정리하니 오늘 은근 많이 한거 같아 뿌듯하다
내일은 4시간 빡 집중 공부를 목표로!
파이썬으로 오늘은 1문제 풀었으니 내일은 2문제!

profile
SW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열정만 있는 대학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