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특징 Stateless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서로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 HTTP는 무상태(Stateless) 프로토콜이다. 이 말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으면 연결이 끊어진다는 뜻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재요청했을 때 서버는 이전 요청을 기억하지 못 한다. Stateful 하면 항상 같은 서버가 유지되어야 한다. 중간에 서버에 장애가 나면? 😱 Stateless 하면 서버가 상태를 보관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 서버나 호출해도 된다. 중간에 서버에 장애가 나면? 다른 서버로 요청 보내면 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요청이 증가해도 서버를 대거 투입할 수 있다. Stateless는 응답 서버를 쉽게 바꿀 수 있다. ➡️ 무한한 서버 증설 가능 (스케일 아웃) 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한 후 서버가 응답을 받으면 그 연결을 끊어 버린다. 서버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와 연결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면, 이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