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 팀프로젝트시 Master 수정법에 대하여 정리를 해보고자 두서없이,, 서술해보았다.
사실 비공개 해놨던건데 ..
여기서,
Master 는 “나무”
Branch 는 “가지”
라고 생각하며 진행하자
첫 CRA 는 Master( Main )으로 올려줘야 하며
팀원 중 한명이
추후 Master 를 수정 하기 위해서는 Master 아래 수정할 내용의 Branch 를 생성해 추가할 내용 즉, 파일을 넣은 후에 push 및 pr 을 등록하여 Remote Master 에 Merge 가 된다면 나머지 팀원들과 Branch 를 push 한 사람까지 git pull 을 진행하여 local Master 에
Branch 내용을 추가하여 수정된 Remote Master 를 동기화 시켜준다.
이때 Branch 를 생성하여 올린 사람도 git pull 을 진행하는 이유는 ?
Local Master 아래 생성 시킨 Branch 는 local Master 와 자동 동기화가 되지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추가하여 준다.
마지막으로 동기화가 된 local Master 의 내용을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적용 시키기위해
Checkout 사용하여 진행중인 Branch 로 접속 하여 git merge master 을 해주어 적용시켜준다.
쉽게 예시를 들어보자면
CRA 기본세팅을 Master 내용이라고 생각해보자
Master 내용을 push 및 pr 을 진행
후에 Remote Master 에 merge 가 되면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팀원들이 각자 local master 에 clone 해온다.
clone 해온 마스터 안에 Branch 를 생성하여 작업을 진행한다.
작업을 하던 도중 모두가 공유하며 사용해야하는 Ex. Common.scss 파일을 추가해 주어야 한다.
이때, 프로젝트 팀원중 한명이 checkout 을 통해 local Master 로 이동하여
Ex. Feature/common 이라는 branch 를 생성하여 파일을 넣어준다.
이것을 commit 하여 push 및 pr 을 진행 시킨 후에 remote Master 로 merge가 진행되면
팀원들은 각자 checkout 을 통해 local Master 로 이동한 후에
git clone 이 아닌 git pull 을 해서 remote Master 와 local Master 를 동기화 시켜준 후에
local Master 안에 있는 현재 진행중인 Ex. Feature/kyuhyun 이라는 branch로 Checkout 을 통해 이동하여 local Master와 branch 를 merge 를 진행하여 적용시켜준다.
그렇게 되면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Common.scss 파일이 적용이 되어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는 프로젝트 진행시 다수가 git repo를 사용할때 적용되는 방법이다.
아래 사진들을 참고해보자
개인
프로젝트 진행시
< 오늘도 개똥이는 성장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