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CO모듈 정리 Note

HyeoklimKwon·2024년 5월 14일
1
Chapter 1. Overview 및 조직 구조
  • CO Module

    • Cost Center Accounting :
      • 회사 내 모든 부서 비용의 계획, 통제 및 분석기능을 시스템에서 흡수, 통합 관리하여, 비용의 인과 관계에 근거한 가장 효과적인 비용 관리를 실현
      • 제품과의 연관 관계가 미약하여 간접비로 처리하여야 하는 공통비 등의 금액은 인원, 활동량 및 물류시스템의 동적인 양적 정보 등의 배부기준과 다양 한 배부 방법의 처리가 가능한 배부 사이클을 이용하여 간접비용을 합리적으로 사업부, 부서별로 비용의 인과 관계에 따라 손쉽게 배부
    • Internal Order :
      • 개별적으로 의미를 지닌 비용을 세부 관리할 목적으로 사용하며 예산과 연계된 비용 관리가 가능
      • 투자경비(설비보수경비) 또는 이벤트성 경비(예. 체육대회경비,박람회 참가경비)의 비용계획과 집계 목적으로 내부오더를 이용하여 예산 계획과 집행 실적을 관리
      • 정량적인 정산 기준을 이용하여 비용 성격에 따라 원가중심점(예. 부서) 또는 자산으로 합리적으로 정산하고, 사용자가 간 단하게 정의할 수 있는 다양한 리포트를 이용하여 세부 집행 내역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비용관리를 실현함 또한 취득예정 고정자산 계획을 I/O로 수립하여 원가중심점별 감가상각비 계획을 관리
    • Product Costing :
      • 다양한 생산 방식에 따른 다양한 Type의 제조원가 계산을 지원하여 제품별로 원가 요소별 차이 분석을 지원함
      •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의 생산 특성에 따라 크게 4가지로 제품원가 계산 방식을 달리하고 있음 (기간별, 오더별, 판매 오더별, 그리고 무형제품 또는 서비스별 제품원가 계산)
    • Profit Center Accounting :
      • 손익 센터별로 수익성과 연관된 분석을 지원하여 책임 경영 도입
      • 손익센터별 이전가격을 적용한 사내 매출, 수익을 관리하여 개별 손익센터의 정확한 수익성을 분석
    • Profitability Analysis :
      • 효과적인 연간 경영 계획 작성을 지원하며, 사용자가 정의한 특성별로 다차원 수익성 분석을 지원하여 전략적 의사 결정을 지원
      • 사업부별, 공장별 등 수익성을 분석하여 향후 자원배분 및 시장/주력 품목을 판단하도록 경영자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
      • 매출액 및 기타 영업데이터(예. 유통채널, 지역, 거래처 등)은 직접 영업시스템에서 보내지며 비용관련 정보들은 간접비 관리시스템에서 적절하게 배분 되어 최종적으로 손익관리 시스템에 집계
  • CO 조직 구조

    • Operating Concern (경영단위) : 시장 특성별 손익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필수조직단위(여러 Controlling Area가 연결될 수 있음
      • 경영단위는 관리회계영역, 회사코드 상위조직
      • 손익분석을 위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경영단위 설정
    • Controlling Area (관리회계영역) : 수익 및 비용을 집계하는 관리회계의 조직단위
      • 관리회계 영역에 회사코드를 연결함으로써 FI Module과 CO Module가 연결
      • 동일한 계정과목표를 사용하는 복수의 Company Code가 Assign될 수 있음
      • 각 관리회계 영역은 하나의 코스트센터 표준계층구조 및 손익센터 계층구조를 가질 수 있음
      • 동일한 관리회계 영역에서만 비용배부가 가능함
    • Profit Center (손익센터) : 손익 및 자산/부채의 집계, 관리단위
    • Cost Center (코스트센터) : 부서 예산 및 실적비용의 관리 단위
      • 인사관리조직을 기본조직으로 관리하지만 비용관리 및 배부목적으로 인사조직과 무관한 코스트센터 설정가능
      • (생산부서는 표준원가 및 실제원가 계산을 위한 임,경비율 생성) 공정별 제조원가 산출을 위하여 생산의 Work Center에 상응하는 코스트 센터를 설정 할 수 있음
    • Characteristic Values (특성치) : PA에서 특성별 분석을 위해 정의된 KEY 조합
      • 특성을 선택적&필수적으로 설정하여 반드시 필요한 특성을 지정할 수 있음
    • Value Field (값필드) : PA에서 특성별 분석을 위해 정의된 값의 종류
      • EX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관리비 , 감가상각비 , 포장비 등

Chapter 2. 마스터
  • CO Object

    • 정의 : 수익/ 비용이 발쌩될 때, 수익/ 비용을 담는 마스터

      • FI 비용계정과목 중 CO원가요소가 생성된 경우 반드시 1개의 CO Object가 지정되어야 전표생성 가능
      • CO Object가 다중으로 입력된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실제값 결정, 나머지는 통계값으로 인식
        • 우선순위 : 수익성세그먼트 > WBS > 내부오더 > 코스트센터
        • EX ) 코스트센터와 수익성세그먼트 동시 입력 시 수익성세그먼트가 실제값, 코스트센터는 통계각
      • 각 오브젝트별 특징이 있어서 상황 별 사용되는 오브젝트들이 구분됨
      • CO Object 간 정산이나 배부를 통해 오브젝트를 옮길 수 있으며, 그 과정을 통해 제조원가 게산, 수익성 분석을 할 수 있음
    • 방법

      1. 전표 입력 시 직접 지정 : F-02
      2. 원가요소에서 CO오브젝트 지정 : KA01
      3. 자동계정지정에서 지정 : OKB9
    • Cost Center (코스트센터) : 비용을 집계하는 조직 오브젝트 (OKENN)

      • 정의
        • SAP상의 비용기표의 최소단위로 비용발생에 대해 책임을 지는 SAP 관리영역내의 조직단위
        • 현 KET의 인사조직코드(팀/그룹)와 Matching될 수 있음
      • SAP상의 관리영역내의 모든 Cost Center를 포함하는 Tree 모양의 Structure로 조직상의 모든 Cost Center는 Standard Hierarchy상의 최 말단에 반드시 Assign되어야 함
      • 회사의 기본 조직 단위 별 코스트센터 1개 ( 일반적 ) → 회사의 조직도처럼 코스트센터그룹 기능을 이용해 계층구조(표준계층구조 & 일반 코스트센터 그룹)를 만들 수 있음
      • 코스트센터 표준계층구조는 Hierachy한 구조를 가지고, 모든 코스트센터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짐
      • FI전표 처리 및 물류에서 입출고 시 비용이 발생할 때 비용이 기표됨
      • 제조원가와 판매관리비를 귀속되는 비용을 코스트센터 범주로 구분할 수 있음
        • 제조원가 : 배부를 통해 자재에 간접비로 반영됨
        • 판매관리비 : 배부를 통해 수익성 분석 전표로 귀속되어 손익계산서에 반영됨
      • Cost Cent Group : 특정 기준에 의해 Cost Center를 Grouping한 가상의 Cost Center Grou
        • Data 조회, 배부구조 설정, Report 조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생성
        • 코스트센터 그룹 Naming Rule은 자유롭게 부여하지만, 목적에 따라 의미 있는 Rule을 적용함
        • 배부구조, 사이클 등에서 정의된 Assign된 그룹 Code는 임의로 삭제가 불가능
      • 코스트센터 마스터(KS03)
        • 코스트센터는 비용이 집계되는 조직코드, 관리회계 영역에 귀속된 마스터
    • Internal Order (내부 오더) : 이벤트, 특별성 경비를 별도로 집계하기 위한 CO Object

      • 기본적으로 오더유형으로 구분되며 ,오더 유형에 따라 업무 프로세스가 다름
      • 각 오더유형은 정산프로파일, 계획프로파일, 예산프로파일 등 다양한 조합으로 만들어져서 업무에 따라 프로세스를 구분할 수 있음
      • 정산과정을 통해 다른 CO오브젝트로 비용을 전달 할 수 있음
      • 내부오더 마스터(KO03)
      • 오더유형(KOT2_OPA)
        • 내부오더는 오더유형에 따라 사용용도가 달라지므로 오더유형 세팅을 확인하여 사용
      • 내부오더 정산규칙
        • 정산규칙은 오더에서 다른 CO오브젝트로 비용을 정산하는 규칙
    • Profitability Segment (수익성세그먼트) : 수익성을 분석하기 위한 특성들의 조합

      • CO는 제품/고객/유통경로별 손익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며 제품/ 고객/ 유통경로 같은 조건들을 특성(Characteristic), 특성들의 개별 값을 특성치(Charateristic value)라고 함.
      • 이러한 특성치들의 조합을 수익성 세그먼트(PA segment)라고 함
      • EX ) 휘발유를 제주도의 한전 고객에게 팔았음 → 수익성 세그먼트 : 휘발유 / 한국전력 / 제주도, 수익성 전표는 수익성 세그먼트 + 값 필드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값필드는 수익/ 매출원가 판촉비 등으로 구성되어 특성별 수익성을 분석할 수 있음
      • 수익성세그먼트 정의 (KEQ3)
      • 특성규칙 추출(KEDR)
        • 시스템 자동으로 값이 없는 Characteristic Value를 채우는 특성추출규칙을 만들어 수익성 세그먼트를 채움
    •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 프로젝트 단위의 손익/비용/에산 관리 목적 CO Object

      • 프로젝트와 WBS라는 형태로 게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프로젝트와 WBS 는 1:N관계
      • 조직 단위가 아닌 프로젝트 단위의 손익관리가 필요한 조직에 적합한 CO CO Object
      • EX) 건물을 짓는 업종에서는 건물 한 개가 프로젝트가 되며 건물 한 개를 짓는데 들어가는 비용들을 WBS에 귀속시켜 관리함
      • 예산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프로파일을 통해 예산의 사용가능 기간을 통제할 수 있음
      • 투자프로파일을 설정하여 WBS를 투자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WBS에서 비용을 집계한 뒤 투자자산으로 정산하여 사용할 수 있음
      • 시스템상태와 사용자상태를 가지고 있어 사용이 끝나면 상태 값을 조정하여 종료처리 할 수 있음
      • WBS 마스터(CJ03)
        • WBS는 프로젝트와 계층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스탠다드에서 정한 네이밍룰에 따라 자동 채번 됨
        • 시스템 상태/ 사용자 상태를 통해 현재 상태와 허용 트랜잭션을 관리함
  • Cost Element (원가요소)

    • 1차 원가요소 (Primary C/E) :
      • 정의
        • 비용의 원천이 FI, SD, MM과 같은 CO외부모듈인 경우의 원가회계상의 비용을 기표하는 수단
      • 운영원칙
        • FI상의 G/L계정 중 비용계정과 동일하게 운영함.
      • Naming Rule
        • FI의 G/L과 동일한 코드를 사용함
      • 원가요소 범주
        • 1 : 1차 원가요소
        • 11 : 수익
        • 12 : 매출액 차감
    • 2차 원가요소 (Secondary C/E) :
      • 정의
        • 비용의 원천이 CO내부에서의 배부 또는 정산에 의한 경우의 원가회계상의 비용을 기표하는 수단으로 FI의 계정과목표의 G/L계정과는 별도임
      • 운영원칙
        • 배부 또는 오더 정산을 위한 목적으로 임의적 생성이 가능함
      • Naming Rule
        • G/L계정과 별도의 Rule 적용 관리
      • 원가요소 범주
        • 21 : 내부정산용(Internal Settlement)
        • 42 : 2차배부요소 (Assessment)
        • 43 : 내부 액티비티 배부용 (Allocation of activities)
    • 원가요소 마스터 (KA23) : 원가요소 등록 현황을 확인하고 신규 원가요소 생성 필요성을 판단함
      • 1차 원가요소(KA01) : 재무회계 계정이 먼저 생성된 후 해당 1차 원가요소를 생성
      • 2차 원가요소(KA06) : 결산 목적에 필요한 2차 원가요소를 생성
Chapter 3. 배부
  • 계획/실제 기간별 재전기 사이클

    • 계획 기간별 재전기 사이클 마스터 : KSW9

      • 세그먼트 헤더 탭

        • 기간별 재전기의 경우 회계전표를 잘못 입력하여 다른 코스트센터로 옮겨야할 때 사용하거나, 불가피하게 특정 코스트센터에 입력해야 하지만 다른 코스트센터로 옮겨야할 때 사용함
          1. 주기(사이클)는 마스터의 키값이며 사이클을 뜻함
          2. 세그먼트는 주기 내에 여러 개를 만들 수 있으며, 사이클을 실행하면 하위의 세그먼트가 모두 실행됨
          3. 센더규칙은 센더의 금액을 얼마나 선택해서 배부할건지 선택하는 기준
          4. 배부할 값이 실제값인지 계획값인지 선택 5. 리시버가 받는 조건을 선택
      • 센더/리시버 탭

        • 센더/리시버 탭에서는 센더와 리시버에 CO오브젝트를 지정함
          1. 센더에 CO오브젝트를 지정할 수 있으며, 주로 코스트센터를 입력하고, 배부할 원가요소도 지정해야함
          2. 센더 코스트센터의 비용을 받을 코스트센터를 입력함
      • 센더값

        • 센더값 탭에서는 센더 중 어느 비율만큼 배부할 지 선택하며, 세그먼트 헤더의 값에서 설정한 것과 같은 값임
          1. 센더의 지분을 입력함
          2. 관리회계영역 버전을 선택함
      • 리시버 추적요인

        • 리시버 추적요인 탭은 앞 선 조건에 따라 리시버가 어떤 것으로 결정될지 최종결과를 보여주는 탭임
          1. 리시버 조건으로 코스트센터 고정률 100% 로 입력하여 센더의 모든 비용을 리시버에 배부하는 것을 보여줌
    • 실제 기간별 재전기 사이클 마스터 : KSW3

      • 세그먼트 헤더 탭

        • 실제 기간별 재전기는 계획 기간별 재전기와 기능은 동일하고 대상이 실제비용인 사이클임
          1. 실제 기간별 재전기 사이클은 리시버 추적요인을 고정액으로 설정
      • 리시버 추적요인

        • 실제 기간별 재전기는 계획 기간별 재전기와 기능은 동일하고 대상이 실제금액인 사이클임
          1. 고정액은 리시버가 고정된 금액으로 배부를 받겠다는 의미이므로 금액을 추적요인에 입력해야함
    • 코스트센터 실제/계획/차이 리포트 : S_ALR_87013611

      • 코스트센터별 비용기표 내역을 확인하고, 배부전후 비용기표 내역을 비교하기 위한 레포트
        1. 선택값으로 관리회계영역/회계연도/기간/ 계획버전을 선택함
        2. 선택그룹에서 코스트센터와 원가요소를 선택
        3. 코스트센터 그룹으로 조회시 해당코스트센터가 트리구조로 조회됨
        4. 원가요소별로 실제/계획/차이금액을 리스트로 보여줌
  • 계획/실제 배분 사이클 : KSV9

    • 계획 배분 사이클 마스터
      • 세그먼트 헤더
        • 배분 사이클은 주로 공통비 부서의 비용을 배부할 때 사용하며, 배분 시 1차원가요소가 유지되며, 비용을 차변에서 대변으로 반대 분개하고 리시버 코스트센터의 차변으로 배분함
          1. 리시버 규칙으로 변동부분을 선택하였으며, 변동부분은 조건에 따라 배부비율이 바뀌는 유형을 뜻함
          2. 변동부분유형으로 계획원가를 선택했을 때, 리시버 코스트센터의 계획 원가 비율 만큼 나눠서 배분됨
          3. 스케일 음수값 추적요인은 센더 금액이 음수일 때 배부를 할 것인지 선택하는 옵션이며, 스케일링 없음은 마이너스 값을 그대로 배부하는 옵션임
      • 센더/ 리시버
        • 배분 사이클은 주로 공통비 부서의 비용을 배부할 때 사용하며, 배분 시 1차원가요소가 유지되며, 비용을 차변으로 대변으로 반대 분개하고 리시버 코스트센터의 차변으로 배분함
          1. 코스트센터 2114에서 원가요소 5334140 에 발생한 비용을 2115 코스트센터로 배분함
    • 실제 배분 사이클 마스터 : KSV3
      • 세그먼트 헤더
        • 배분 사이클은 주로 공통비 부서의 비용을 배부할 때 사용하며, 배분 시 1차원가요소가 유지되며, 비용을 차변으로 대변으로 반대 분개하고 리시버 코스트센터의 차변으로 배분함
          1. 계획 배분 사이클과 동일한 조건으로 만들어졌으며, 차이점은 실제비용을 배부하는 것임
  • 계획/실제 평가 사이클

    • 계획 평가 사이클 마스터 : KSU9
      • 세그먼트 헤더
        • 평가 사이클은 1차원가요소를 2차원가요소로 묶어서 배부하여 제조 간접부서에서 제조직접부서에 귀속시킴
          1. 1차원가요소를 묶어서 배부할 2차원가요소(평가원가요소)를 입력함
          2. 배부구조는 1차원가요소와 2차원가요소를 매핑한 마스터임(실제평가사이클참조)
      • 센더/리시버
        • 평가 사이클은 1차원가요소를 2차원가요소로 묶어서 배부하여 제조 간접비로 제조원가에 귀속하거나, 판관비로 귀속시킴
          1. 1차원가요소의 범위 5334140 ~ 5377290를 묶어서 2차원가요소 8200100으로 배부함
    • 실제 평가 사이클 마스터
      • 세그먼트 헤더
        • 평가 사이클은 1차원가요소를 2차원가요소로 묶어서 배부하여 제조 간접비로 제조원가에 귀속하거나, 판관비로 귀속시킴
          1. 배부구조는 1차원가요소와 2차원가요소를 매핑하는 규칙(지정)을 모은 마스터임
          2. 돋보기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하단 캡처와 같이 배부구조를 조회할 수 있음
  • CO-PA 실제 평가 사이클

  • CO-PA 실제 평가 사이클 마스터 : KEU3

    • 세그먼트 헤더

      • CO-PA 평가 사이클은 코스트센터의 판관비를 수익성 전표로 배부하는 사이클이며, 원가요소를 값필드로 대체해야하기 때문에 PA 전송구조로 원가요소와 값필드가 매핑되어 있음
        1. 1차원가요소와 2차원가요소 매핑이 되어있는 구조
        2. PA전송구조는 수익성전표를 만들기 위해 원가요소와 값필드를 매핑해놓은 구조
    • 센터/리시버

      • CO-PA 평가 사이클은 코스트센터의 판관비를 수익성 전표로 배부하는 사이클이며, 원가요소를 값필드로 대체해야하기 때문에 PA 전송구조로 원가요소와 값필드가 매핑되어있음

        1. 리시버는 상품/고객/유통경로 등 특성치들의 조합인 ‘수익성세그먼트’이며, 수익성세그먼트와 값필드의 조합으로 배부 실행 시 수익성 전표가 생성됨
  • 통계주요지표

    • 통계주요지표 마스터 : KK03
      • 비화폐측정치라는 뜻에서 통계라는 표현이 쓰였으며, 인원수, 건물 면적, 부피 등이 있고, 배부의 기준(배부적수)로 사용함
      • 고정값은 1개월을 등록하면 당해 나머지 월을 같은 값으로 업데이트함
      • 총액은 데이터를 업데이트한 월만 업데이트함
      • 입력
        • 통계주요지표를 입력하는 화면이며 통계주요지표를 입력 시 전표가 발생한다
          1. 통계주표지표 코스트센터를 입력함
          2. 통계주요지표 마스터를 입력함
          3. 코스트센터에 귀속될 수량(인원수)를 입력함
      • 세그먼트 헤더
        • 비화폐측정치라는 뜻에서 통계라는 표현이 쓰였으며, 인원수, 건물 면적, 부피 등이 있고, 배부의 기준(배부적수)로 사용된다.
          1. 리시버규칙을 변동부분으로 선택함
          2. 변동부분유형을 실제 통계 주요 지표를 선택하여 통계주요지표 기준으로 배부함
      • 리시버 추적요인
        • 비화폐측정치라는 뜻에서 통계라는 표현이 쓰였으며, 인원수, 건물 면적, 부피 등이 있고, 배부의 기준(배부적수)로 사용된다.
          1. 통계주요지표에 통계주요지표 마스터를 입력함
Chapter 4. 표준원가
  • 표준원가

    • 정의
      • 재화의 소비량을 과학적, 통계적 조사의 의하여 능률의 척도가 될 수 있도록 사전에 설정한 원가
    • 구성
      • 표준원가는 BOM과 Routing으로 구성되어 있음
    • 활용
      • 표준원가를 통해 물류와 재무가 일치된 정보를 가질 수 있음
      • 표준원가를 통하여 앞서 수립한 계획 대비 실적 분석 가능
      • 표준원가를 사용해 효율적인 실시간 수익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음
      • 표준원가는 생산 실적 현장에 지침을 제공함
      • 표준원가는 생산이 진행되는 현장을 모니터링 하는 기능을 제공함
      • 표준원가에 사용되는 기준정보는 MRP 수행의 기준정보로 사용함
      • 표준원가는 수량측면과 가격측면으로 구분되어 분석을 수행할 수 있음
    • 조회 : CK13N
      • 양적 구조로 구성되고, 원가 구성요소별 금액을 확인할 수 있음
        1. 표준원가계산 계층구조를 나타내어 각 구성자재별 금액을 확인할 수 있음
        2. 표준원가는 자재/플랜트별로 관리됨
        3. 표준원가는 BOM과 Rounting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조합을 양적구조라고 함
        4. 표준원가의 원가구성요소를 보여줌
  • 액티비티

    • 유형 정의
      • 코스트센터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활동을 수량화한 것을 말하며, 이에 대해 발생하는 비용원인 (cost drive)을 분석하고 관리하고자 할 때 사용됨
      • 제품제조원가의 가공비 항목을 구성하게 됨
      • 하나의 Activity type은 Secondary cost element인 Allocation cost element와 연결됨
    • 유형 설정 기준
      • 비용분석을 위해 구분이 필요한 비용
      • 원단위 관리가 필요한 비용은 구분함(유틸리티 비용 등)
      • 직접 감가상각비는 그 발생요인이 다르고 비율이 높아 별도 구분함
      • 사내 외주가공비는 계절적 변화가 크고 인력관리 대상으로서 별도 구분함
    • 관리 기본 전제
      • 특정산출물과 직접 관련된 측정 가능한 활동, 측정단위로 표시될 수 있어야 함
      • 활동의 유형과 C/C별 발생 cost는 상호 관련성을 갖고 있어야 함
      • 표준원가를 사전에 제품별, 활동별 표준수량 측정할 수 있어야 함
    • 액티비티 유형 마스터 : KL03
      • 액티비티 유형은 업무활동을 위한 것이며 코스트센터에 귀속되어 사용함
        1. 액티비티 유형 코드 : 6자리 문자열로 생성가능
        2. 액티비티는 관리회계영역 내의 마스터
        3. 액티비티유형 마스터는 효력시작일~종료일로 관리됨
        4. 액티비티 명칭과 설명을 입력하고, 명칭은 20자리, 내역은 40자리 입력가능 함
        5. 액티비티에 사용될 수량 단위를 입력하며, 초, 분 등 시간단위나 센터미터, 킬로미터같은 거리 단위, 무게단위 등을 사용함
        6. 해당 액티비티를 사용하는 코스트센터 범주를 제한할 수 있음. 제한 없을 경우 *를 입력함
        7. 액티비티 유형은 4가지 범주로 관리되며, 각 범주에 따라 센더와 리시버를 입력하고 금액을 배부하는 방법이 달라짐
        8. 액티비티 유형별로 2차 원가요소와 연결하여 금액을 집계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하는 2차원가요소 범주는 43 내부 액티비티 배부임
        9. 가격 지시자는 액티비티 단가를 구할 때, 계획 액티비티를 사용할지 생산능력을 사용할지 선택하는 기준
    • 액티비티 단가 : KP26
      • 코스트센터 간접비를 직접 제조 코스트센터에 배부 후 분할과정을 통해 액티비티 단가를 구함
        1. 액티비티 유형 마스터를 나타냄
        2. 계획액티비티 수량을 나타냄
        3. 생산능력에 따라 단가 계산을 할 경우 사용하는 수량
        4. 액티비티 단가를 나타냄
        5. 가격단위를 나타내며, 캡처에서 가격단위 1Hour이고, 단가가 1Hour당 12원임을 알 수 있음
        6. 액티비티에 매핑된 2차 원가요소를 나타냄
      • 액티비티 유형 마스터의 가격 지시자에 따라 액티비티 단가를 구하는 방법이 다름
        • 가격지시자에 따른 액티비티 단가 계산방법
          1. 계획 액티비티에 기준한 자동계산 : 비용계획 금액 / 계획 액티비티 소요량
          2. 조업도에 기준한 자동계산 : 비용계획 금액 / 계획 생산능력 수량
          3. 수동 정의 : 단가를 수동으로 직접 입력
  • 표준원가 추정 프로세스

    • Overview :

      • 각 회사마다 주기적(연, 월)으로 비용 계획과 생산 계획을 수립
      • 비용 계획과 생산 계획을 통해 주기적으로 표준원가를 추정하여 월중 입출고 시 자재의 원가로 사용함
      • 생산 계획비용 수립 (KP06)
        • 비용계획을 원가요소별로 코스트센터에 입력함
      • 생산계획 액티비티 소요량 전송 (KSPP, KPSI)
        • 생산계획에서 세운 액티비티별 소요량 데이터를 계획 액티비티로 반영하여 계획액티비티 단 가를 계산할 때 사용
      • 생산 계획비용 1차 배부 (KSVB)
        • 공통비성 계획 비용을 배부함
      • 생산 계획비용 2차 배부 (KSUB)
        • 생산관련 코스트센터의 비용을 배부함 (from 생산 간접 코스트센터 to 생산 직접 코스트센터)
      • 생산 계획비용 분할 (KSS4)
        • 생산 직접 코스트센터의 계획 액티비티 금액 분할
      • 생산 계획액티비티 단가 계산 (KSPI)
        • 분할된 계획 액티비티 금액을 액티비티 소요량으로 나눠서 계획 액티비티 단가 계산
      • 표준원가추정(CK11N, CK40N)
        • 생산계획과 계산된 액티비티 단가를 통해 표준원가추정
    • 생산 계획 비용 배부

      • 배부사이클 생성 : 비용 배부를 위한 조건 값 입력(샌더/리시버, 샌더값, 리시버 추적요인)하여 비용 배부 전력에 따라 사이클을 생성
        1. 샌더 - 비용을 보내는 코스트센터 및 기능영역, 원가요소를 입력
        2. 리시버 - 비용을 받는 코스트센터 또는 오더 입력
        3. 리시버 추적요인 - 비용 배부 시 배부 기준이 되는 유형(ex. Activity, SKF..)을 선택
      • 배부사이클 실행 : 비용 배부 사이클을 실행하여 비용을 배부하는 단계
        1. 매개변수 - 배부실행 기간 및 회계연도 입력
        2. 처리 - 테스트실행 체크를 해제 / 세부사항리스트 체크 후 실행
        3. 주기 - 실행하고자 하는 배부사이클 입력
        4. 처리결과 - 오류없이 처리 완료된 것을 확인
      • 배부 사이클 실행결과 조회 : 비용 배부 전략에 따라 올바르게 비용이 배부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비용 배부가 완료된 이후에는 생산 간접 코스트센터의 비용은 0원이 되어야 함
        1. 생산 간접 코스트센터 - 생산 간접 코스트센터의 비용은 모두 직접 코스트센터로 배부되어 총액이 0원이 되는 것 확인
        2. 생산 직접 코스트센터 - 생산 간접 코스트센터의 비용을 모두 배부 받은 것 확인
    • 생산 계획 비용 분할

      • 분할(Spliting) : 코스트센터에 속한 액티비티와 관련되지 않은 (Activity-independent) 비용을 액티비티 유형별로 나누어 주는 것을 의미
      • 관련마스터 (분할구조 지정, 분할구조)를 이용하여 분할을 실행
        1. 분할구조 : 원가요소를 어떤 액티비티에 포함시킬지 정의하는 마스터
        2. 분할구조 지정 : 코스트센터별로 어떤 분할 구조를 사용할지 정의하는 마스터
      • 분할 실행 : 생산 직접 코스트센터에 기표된 모든 비용을 액티비티 유형별로 분할 되도록 실행
        1. 코스트센터 선택 - 생산 직접 코스트센터를 입력
        2. 매개변수 - 분할 실행할 기간 및 회계연도를 입력
        3. 처리 - 테스트실행 체크를 해제 / 세부사항리스트 체크 후 실행
        4. 결과화면 확인 - 분할을 실행하고 나면 코스트센터에 액티비티 유형별로 실적 비용이 Assign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생산 액티비티 계획 단가 계산

      • 분할실행 : 생산 직접 코스트센터에 기표된 모든 비용을 액티비티 유형별로 분할 되도록 실행
        1. 코스트센터 선택 - 생산 직접 코스트센터를 입력
        2. 매개변수 - 분할 실행할 기간 및 회계연도를 입력
        3. 처리 - 테스트실행 체크를 해제 / 세부사항리스트 체크 후 실행
        4. 결과화면 확인 - 분할을 실행하고 나면 코스트센터에 액티비티 유형별로 실적 비용이 Assign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생산 직접 코스트센터의 액티비티 계획 단가를 계산
      • 앞선 분할 작업을 통해 액티비티 별로 집계된 계획 비용을 액티비티 계획수량으로 나누어 단가를 계산
      • 액티비티 계획 단가 = 액티비티 별 계획 비용 / 액티비티 계획 수량

  • 계획 액티비티 단가 계산 (KSPI)

    • 코스트센터/ 액티비티 별 실제 단가를 계산함
    1. 코스트센터 선택 - 생산 직접 코스트센터를 입력
    2. 매개변수 - 분할 실행할 기간 및 회계연도를 입력
    3. 처리 - 테스트실행 체크를 해제 / 세부사항리스트 체크 후 실행
    4. 결과화면 확인 - 단가계산을 실행하고 나면 코스트센터에 액티비티 유형별로 실적 액티비티 단가가 계산 및 갱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계획 액티비티 단가 확인(KSBT)

      • 직접생산 코스트센터의 실제 액티비티 단가 금액을 조회하여 확인할 수 있음
        1. 코스트센터 - 생산 직접 코스트센터를 입력
        2. 액티비티 유형 - 단가 계산할 액티비티 입력
        3. 선택매개변수 - 버전/회계연도 /기간/가격지시 자/가격단위 선택
        4. 결과화면 확인 - 직접코스트센터의 액티비티별 계획 /실제 단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 표준원가 추정

    • 생산계획에서 설정한 자재별 BOM과 라우팅을 기준으로 표준원가를 추정
  • ※ BOM : 자재명세서(Bill of Material). 품목에 대해 상위 품목과 부품의 관계와 사용량, 단위 등을 표시한 List.

  • ※ Routing : 공정(라우팅). 재료에서 제품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모든 활동, 순서.

  • ※ Activity : 원가를 발생시키는 모든 활동. (노무시간, 전력량, 가스량, 감가/리스 등)

  • 표준원가 추정

    • 원가 계산실행 마스터 설정 (CK40N)

      • 원가계산 데이터의 원가계산 변형, 버전, 관리회계영역, 회사코드를 설정함
      1. 원가계산 실행 - 원가계산을 실행하기 위한 마스터이며 원가계산데이터, 일자, 평가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2. 원가계산 데이터 - 원가계산 변형, 원가계산 버전, 관리회계영역, 회사코드를 포함
      3. 일자 - 표준원가 계산이 릴리즈되어 실제 물류에 적용되는 시점을 나타냄
      4. 평가 - 평가변형에 대한 설정
    • 원가 추정 생성 (CK40N)

      • 표준원가추정 생성을 위해 단계적으로 실행
      1. 원가계산 실행 - 원가추정생성 단계는 선택구조전개-원가계산-분석-표시릴리즈 순으로 구성됨 - 릴리즈 단계까지 완료가 되어야 표준원가를 사용할 수 있음
      2. 원가계산분석 - 원가추정의 결과를 개별자재별로 조회할 수 있음 - 원가추정 오류 발생 시 자재별 오류를 확인할 수 있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