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 수익/ 비용이 발쌩될 때, 수익/ 비용을 담는 마스터
- FI 비용계정과목 중 CO원가요소가 생성된 경우 반드시 1개의 CO Object가 지정되어야 전표생성 가능
- CO Object가 다중으로 입력된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실제값 결정, 나머지는 통계값으로 인식
- 우선순위 : 수익성세그먼트 > WBS > 내부오더 > 코스트센터
- EX ) 코스트센터와 수익성세그먼트 동시 입력 시 수익성세그먼트가 실제값, 코스트센터는 통계각
- 각 오브젝트별 특징이 있어서 상황 별 사용되는 오브젝트들이 구분됨
- CO Object 간 정산이나 배부를 통해 오브젝트를 옮길 수 있으며, 그 과정을 통해 제조원가 게산, 수익성 분석을 할 수 있음
-
방법
- 전표 입력 시 직접 지정 : F-02
- 원가요소에서 CO오브젝트 지정 : KA01
- 자동계정지정에서 지정 : OKB9
-
Cost Center (코스트센터) : 비용을 집계하는 조직 오브젝트 (OKENN)
- 정의
- SAP상의 비용기표의 최소단위로 비용발생에 대해 책임을 지는 SAP 관리영역내의 조직단위
- 현 KET의 인사조직코드(팀/그룹)와 Matching될 수 있음
- SAP상의 관리영역내의 모든 Cost Center를 포함하는 Tree 모양의 Structure로 조직상의 모든 Cost Center는 Standard Hierarchy상의 최 말단에 반드시 Assign되어야 함
- 회사의 기본 조직 단위 별 코스트센터 1개 ( 일반적 ) → 회사의 조직도처럼 코스트센터그룹 기능을 이용해 계층구조(표준계층구조 & 일반 코스트센터 그룹)를 만들 수 있음
- 코스트센터 표준계층구조는 Hierachy한 구조를 가지고, 모든 코스트센터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짐
- FI전표 처리 및 물류에서 입출고 시 비용이 발생할 때 비용이 기표됨
- 제조원가와 판매관리비를 귀속되는 비용을 코스트센터 범주로 구분할 수 있음
- 제조원가 : 배부를 통해 자재에 간접비로 반영됨
- 판매관리비 : 배부를 통해 수익성 분석 전표로 귀속되어 손익계산서에 반영됨
- Cost Cent Group : 특정 기준에 의해 Cost Center를 Grouping한 가상의 Cost Center Grou
- Data 조회, 배부구조 설정, Report 조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생성
- 코스트센터 그룹 Naming Rule은 자유롭게 부여하지만, 목적에 따라 의미 있는 Rule을 적용함
- 배부구조, 사이클 등에서 정의된 Assign된 그룹 Code는 임의로 삭제가 불가능
- 코스트센터 마스터(KS03)
- 코스트센터는 비용이 집계되는 조직코드, 관리회계 영역에 귀속된 마스터
-
Internal Order (내부 오더) : 이벤트, 특별성 경비를 별도로 집계하기 위한 CO Object
- 기본적으로 오더유형으로 구분되며 ,오더 유형에 따라 업무 프로세스가 다름
- 각 오더유형은 정산프로파일, 계획프로파일, 예산프로파일 등 다양한 조합으로 만들어져서 업무에 따라 프로세스를 구분할 수 있음
- 정산과정을 통해 다른 CO오브젝트로 비용을 전달 할 수 있음
- 내부오더 마스터(KO03)
- 오더유형(KOT2_OPA)
- 내부오더는 오더유형에 따라 사용용도가 달라지므로 오더유형 세팅을 확인하여 사용
- 내부오더 정산규칙
- 정산규칙은 오더에서 다른 CO오브젝트로 비용을 정산하는 규칙
-
Profitability Segment (수익성세그먼트) : 수익성을 분석하기 위한 특성들의 조합
- CO는 제품/고객/유통경로별 손익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며 제품/ 고객/ 유통경로 같은 조건들을 특성(Characteristic), 특성들의 개별 값을 특성치(Charateristic value)라고 함.
- 이러한 특성치들의 조합을 수익성 세그먼트(PA segment)라고 함
- EX ) 휘발유를 제주도의 한전 고객에게 팔았음 → 수익성 세그먼트 : 휘발유 / 한국전력 / 제주도, 수익성 전표는 수익성 세그먼트 + 값 필드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값필드는 수익/ 매출원가 판촉비 등으로 구성되어 특성별 수익성을 분석할 수 있음
- 수익성세그먼트 정의 (KEQ3)
- 특성규칙 추출(KEDR)
- 시스템 자동으로 값이 없는 Characteristic Value를 채우는 특성추출규칙을 만들어 수익성 세그먼트를 채움
-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 프로젝트 단위의 손익/비용/에산 관리 목적 CO Object
- 프로젝트와 WBS라는 형태로 게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프로젝트와 WBS 는 1:N관계
- 조직 단위가 아닌 프로젝트 단위의 손익관리가 필요한 조직에 적합한 CO CO Object
- EX) 건물을 짓는 업종에서는 건물 한 개가 프로젝트가 되며 건물 한 개를 짓는데 들어가는 비용들을 WBS에 귀속시켜 관리함
- 예산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프로파일을 통해 예산의 사용가능 기간을 통제할 수 있음
- 투자프로파일을 설정하여 WBS를 투자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WBS에서 비용을 집계한 뒤 투자자산으로 정산하여 사용할 수 있음
- 시스템상태와 사용자상태를 가지고 있어 사용이 끝나면 상태 값을 조정하여 종료처리 할 수 있음
- WBS 마스터(CJ03)
- WBS는 프로젝트와 계층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스탠다드에서 정한 네이밍룰에 따라 자동 채번 됨
- 시스템 상태/ 사용자 상태를 통해 현재 상태와 허용 트랜잭션을 관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