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만들 포트폴리오는 포트폴리오에 그치지 말고 itch.io 같은곳에 직접 배포를 해보기로 결심하였다. 이를 위해서 가장 먼저 세운 계획은 사용할 수 있는 에셋들의 목록을 보는 것이였다. 항상 프로토타입으로만 에셋을 사용했어서 라이센스에 대한 항목을 자세히 보지 않았는데, 이번에는 지금까지 받았던 에셋들을 모두 훑어보면서 각각의 라이센스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보았다.
그 결과 라이센스와 관련된 항목은 크게 License Terms와 License가 있었다. License Terms는 Standard License
, UE Marketplace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CC BY 4.0)
중 하나로 되어 있었고 License는 Personal
아니면 Professional
으로 되어있었다.
먼저, License Terms에 대해 알아보자. License Terms는 체감상 80% 이상이 Standard License
였고 10% 정도가 UE Marketplace
나머지 10% 정도가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CC BY 4.0)
였다.
먼저, Standard License
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는 언리얼 마켓플레이스의 일반적인 라이센스이며, 대부분의 유료 또는 무료 에셋에 적용된다고 한다. 사용 가능 범위는 언리얼 엔진을 사용한 프로젝트에만 가능하고, 에셋을 수정하거나 변형하여 사용가능하다고 한다. 추가 조건으로는 에셋을 재판매하거나 다른 플렛폼에 배포할 수 없고, 수정한 에셋도 독립적인 판매는 불가능하다고 한다.
다음은 UE Marketplace License
이다. 사용 가능 범위랑 추가 조건 모두 Standard License
와 매우 비슷한데, UE Marketplace License
는 언리얼 마켓플레이스 외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CC BY 4.0)
이다. Creative Commons에서 제공하는 공개 라이센스이며 에셋 제작자가 이를 선택하면 언리얼 엔진 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 범위는 엔진 공류 상관 X, 상업적 사용 O,수정 후 재배포 O이다. 추가 조건으로는 반드시 제작자의 이름과 원작의 출처를 명시해야 하고, 수정한 경우에도 원작자를 표시해야 한다.
위의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icense Terms외에도 License라는 것도 존재했는데, 이는 구매자들로 하여금 Personal
과 Professional
중 하나를 고르게 해야 했다.
Personal
은 개인 개발이나 소규모 제작사에게 해당되며 1.4억 이하의 영업이익 또는 12개월동안의 펀딩이 이 금액 이하로 되어야 한다.
Professional
은 1.4억 이상의 영업이익 또는 이 금액 이상으로 12개월동안의 펀딩이 진행된 스튜디오에 해당한다.
그런데, 만약 Personal
옵션으로 에셋을 구입했는데 사용하는 게임이 Professional
단계로 넘어간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때는 에셋 제작자와 연락해서 (Professional 에셋 비용
-Personal 에셋 비용
)만큼의 비용을 지불하고 에셋을 업그레이드하면 된다고 한다.
UE 마켓플레이스에 존재하는 에셋들의 라이센스 정책들이 생각보다 상업적 활용에 관대해서 놀랐다. 이번에 만들 게임은 기능 위주의 게임을 계획중이라 수익에 대한 부분은 따로 신경쓰지 않기로 했다. 하지만, 혹시라도 나중에 귀찮은 상황이 발생할까봐 EpicGames 공식 에셋을 위주로 최소한의 에셋들을 사용하는게 맘 편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