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는 Dependency Injection의 줄임말로, 다양한 우리 말 번역이 있지만, 이 글에서는 의존관계 주입이라는 말로 사용하고자 한다.먼저 Dependency, 의존관계에 대해 알아보자.“A가 B를 의존한다.”는 표현은 어떤 의미일까? 추상적인 표현이지만, 토
MVVM 패턴은 MVC 패턴에서 Controller를 빼고 ViewModel을 추가한 패턴입니다.ViewiOS는 ViewController까지 View가 된다.사용자가 보여지는 View를 생각하면 된다. 유저 인터랙션을 받는 역할, 인터랙션을 받을 시 ViewModel
기본적으로 sort는 오름차순로 정렬한다. 내림차순하고 싶으면 sort(by:)를 사용한다.제자리에서 정렬하기 때문에 어떤 배열을 리턴하지 않는다.sorted는 정렬된 요소를 반환한다.각 element가 comparable 프로토콜을 따르면 정렬할 수 있다.sort는
for-in컬렉션에 저장된 요소 수만큼 반복되며, 저장된 요소가 루프 상수에 하나씩 들어간다foreach반복 실행하려는 코드를 파라미터로 받고, 저장된 요소는 클로저 상수로 전달된다.for - in문은 우리가 직접 구현하면 반복문 사용가능하나forEach는 내가 반복하
Swift의 inout 매개변수에 대해서 알아보자!inout 매개변수란?inout은 copy-in copy-out 안으로 복사되고 밖도 복사된다.Swift에서 함수와 메소드의 매개변수는 기본적으로 상수(Constant)로 전달이 되고, 해당 값을 직접 수정할 수 없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