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 터미널 명령어를 통한 과정 요약
📌 기본적인 GitHubFlow 방식의 pull & push 과정
git add * > git commit > git pull upstream dev > git push origin main > 깃허브 PR 생성dev 브랜치로 보내기
+ 커밋 없이 pull만 받고 싶을 때
git stash > git pull upstream dev > git stash pop
+ 커밋 없이 pull 받은 후 commit까지하고 싶을 때
git stash > git pull upstream dev > git stash pop > git add * > git commit > git pull upstream dev > git push origin main > 깃허브 PR 생성
* 설명은 팀장의 저장소가 아닌 Fork를 받은 팀원의 저장소 기준이다.
내 PC에서 dev 브랜치와 별개로 나만의 브랜치 생성
내 PC에서 작업할 내용 코딩
git stash (임시저장소에 저장)
git pull origin dev
Your local changes to the following files would be overwritten by merge:
오류날 때git stash pop (임시저장소에 있던 파일 내 로컬로 다시 가져오기)
git add .
git commit -m ‘커밋메시지’
git push origin branch1:branch2
깃허브 접속 후 내 브랜치로 진입해서 잘 push됐는지 확인
Pull requests > New Pull Request 클릭
브랜치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