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베이스(Database) 관련 기초 용어 정리 - DBMS, SQ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고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관리되는 정보의 집합\- 관련성 있는 데이터의 모음\- 데이터베이스는 반드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
: JDBC에 대한 기초 개념 정리\- Java DataBase Connectivity\- 자바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서 SQL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java.sql 패키지와 javax.sql 패키지에 관련 인터페이스와 클래스가 존재함: 데이터베이스와의 연
: SQL의 CRUD 구현 쿼리와 사용예시 간단 정리\- Create(생성), Read(읽기), Update(갱신), Delete(삭제)의 약자\- 데이터베이스를 다루기 위한 4가지 작업\- SQL에서는 DML을 이용해 CRUD 작업을 구현함\- M
: Oracle의 주요 데이터 타입 간단 정리\- 가변길이 문자 데이터, 최대값: 4000byte\- size 범위 내에서 실제 데이터의 크기만큼만 저장공간 사용\- ex) 이름, 주소, 과목명, 상품명, 뉴스제목\- 고정길이 문자 데이터, 최대값: 2000byte\-
: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내장함수에 대한 정리\- 조회된 행마다 하나의 결과를 반환\- 중첩해서 사용 가능\- 종류1\. 문자함수 : 문자를 입력값으로 받아서 계산한 결과를 반환2\. 숫자함수 : 숫자를 입력값으로 받아서 계산한 결과를 반환3\. 날짜함수 : Date
: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그룹함수(다중행 함수)와 GROUP BY(그룹화)에 대한 간단 정리\- 조회된 행들의 집합그룹에 적용되어 그룹 당 하나의 결과를 생성하는 함수\* 집합그룹 : 테이블 전체 또는 그룹화된 테이블의 행들\- 그룹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1) WHERE
\- Join 문법 및 종류에 대한 간단 정리\- 데이터베이스에서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연결지어서 데이터를 조회하는 작업\- 오라클에서만 사용되는 문법\- 형식)\- RDBMS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표준 문법\- 형식)\* 아래부터 모든 예시는 Oracle Join
: 데이터베이스의 SubQuery에 대한 이해\- 메인 쿼리 내부에 정의된 쿼리\- 다른 SELECT 문의 내부에 정의된 SELECT문\- 서브쿼리를 포함시킬 수 있는 곳 : WHERE절 / HAVING절 / FROM절 =인라인뷰\- 형식)\- 실행결과로 한 행만 반환
: Transaction(트랜잭션)에 대한 이해\-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구성하는 데이터 조작 명령문의 모음\- ex)이체하기내 계좌의 잔액 감소 - UPDATE상대방 계좌의 잔액 증가 - UPDATE내 계좌에 이체 발송 내용 추가 - INSERT상대방 계좌에 이체 수
: Oracle의 데이터 정의어(DDL)와 주요 데이터베이스 객체 정리: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객체 생성, 변경, 삭제에 사용되는 명령어\- CREATE, ALTER, DROP, TRUNCATE\- 데이터의 기본 저장단위, 행과 열로 구성되어 있는 객체\- 하나 이상의
: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 제약조건(Constraint) 정리: 데이터의 무결성을 지키기 위해 제한된 조건으로,테이블에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한다.해당 컬럼에 NULL값이 입력되지 못하도록 지정하는 제약조건사용예시)해당 컬럼의 값은 테이블 전체에서 고
: TOP-N 분석과 분석함수에 대한 이해\- 조건에 맞는 최상위 데이터 N개 혹은 최하위 데이터 N개를 조회하는 쿼리\- 형식\- 사용예시)\- 테이블의 데이터를 특정 용도로 분석하여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종류1\. 순위 함수 : RANK, DENSE_RANK,
💡 DB 사용자 및 데이터베이스 생성 후 연결까지 1. cm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생성 및 비밀번호 설정 1) MySQL이 설치된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어 입력 내 MySQL 경로는 C:\Program Files\MySQL\MySQL S
📌 MySQL 버전 조회하는 쿼리 실행 MySQL 워크벤치에서 아래 쿼리 실행 💡 버전 조회 성공 화면 8.0.37 ver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