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s를 통해 부모에서 자식으로 보내는 작업은 많이 해 보았다.예를 들어위와 같이 parent 에서 name(김찬호)라는 데이터를 보내 child에서 props로 받아 return부분에 name 데이터를 받아 출력하는 코드이다. 즉 parent=>child 로 가는
React를 계속 사용하다보니 사용하던것만 사용한다. (useState,useEffect)그래서 그런지 코드가 계속 길어지고 나중에 유지보수 작업을 하려고 내 코드를 보면 가끔 멀미가 날 것 같다... 그래서 React Hooks 에 대한 무지함 타파하기 위해 사용하던
useReducer에 이어 useContext도 공부를 했다. 앞써 한달전 부모-자식 간의 데이터 교환을 콜백함수로 props를 받아서로 교환하는 것을 알았다
오늘은 useMemo다. 설명에 앞써 기본 꼴은 이렇다. 기본 꼴을 살펴보면 useMemo는 useEffect와 같이 의존성 배열을 갖는다. 의존성 배열은 > 의존성 배열이란 useEffect 훅에 입력하는 두 번째 매개변수를 뜻한다. 의존성 배열의 내용이 변경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