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데이터분석] 프로젝트 정리 및 회고

young·2022년 10월 8일
2

회고 및 피드백

목록 보기
3/7
post-thumbnail

프로젝트 개요 및 포트폴리오

주제

폭염 피해 구제를 위한 폭염 취약 계층 밀집 지역의 주거 환경 수리 제안

추진 배경 및 목적

  • 폭염 피해의 원인으로 폭염에 취약한 주거 환경을 지목하고, 주거 환경의 개선을 그 해결 방안으로 제시

프로젝트 정의

  • 노후주택 개선을 통해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피해 예방 및 피해 감소 모색
  • 정책 적용이 먼저 필요한 지역을 선정하여 효율적 예산 사용 및 효과적인 정책 시행 제안
  • 폭염 피해 대응이 어려운 사람을 위한 주거 환경 개선 제안

프로젝트 기간

  • 09.16 ~ 09. 28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폭염 피해 구제를 위한 폭염 취약 계층 밀집 지역의 주거 환경 수리 제안

멋쟁이 팀원분의 프로젝트 회고

[공모전 회고록] 팀 프로젝트를 통해 한 단계 더 발전해나가다.


KPT 회고

멋쟁이 걸즈님이 올려주신 회고 양식에 따라 팀 전체에서 회고를 진행했다.
KPT 양식으로 진행했으며 개인적 회고도 추가했다.

K [현재 만족 및 이어갔음 하는 부분]

  • 프로젝트 완료 후에도 간직하고 싶은 잘했던 것 / 좋았던 것

공통적으로 이야기한 부분

  1. 칭찬하는 팀 문화
  2.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피드백 분위기
  3. 자발적 문제 해결 및 문제 해결을 위한 집요함
  4. 프로젝트에 대한 세세한 기록
  5. 모르는 부분에 대해 질문했을때 친절하게 최대한의 범위에서 알려주려는 분위기
  6. 일간 목표와 주간 목표가 있었던 부분 → 시간안에 프로젝트를 할 수 있었던 부분
  7. 팀원의 부족했던 부분을 서로 채워준 것

개인적인 부분

  • 어떤 이야기던 부정적으로 이야기하지도, 듣지도 않는 문화
    - 지적이 아닌 피드백 그 자체와 피드백 그대로 수용함
  • 질문이 어색하지 않은 팀
    - 모르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서로 끊임없이 질문하면서 프로젝트를 발전시킴

P [개선이 필요한 부분]

  • 프로젝트 중 겪었던 어려움(기술, 소통, 협업, 에러 등 프로젝트 진행 관련된 그 어느것이든) / 프로젝트 완료 후에도 아쉬움으로 남는 것

공통적으로 이야기한 부분

  1. 효율적인 시간 활용의 부재 및 시간 부족
  2. 초기 프로세스에서 선정 데이터에 대한 파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음
  3. 주제에 대한 차별성 탐구 부족
  4.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아쉬움(카카오톡 API, 파이썬 시각화 )
  5. 원활한 의견공유의 부재
  6. 데이터 해석과 결과 도출 과정의 아쉬움
  7. 주제 관련 사전 조사 부족
  8. 팀원별 적절하게 배분되지 못한 프로세스 배치
  9. 실무자의 시선 부족
  10. raw data 활용이 적었음

개인적인 부분

  • 철저한 사전 조사와 데이터 확인이 이뤄지지 않은 것
    - 사전 조사 부족과 데이터의 불충분한 확인은 이후 막대한 비효율을 만듬
  • 팀원 간 균등하지 않은 프로젝트 이해도와 진행도
  • 팀에게 공통적으로 공유되지 않은 프로젝트 기대 성과

T [P에 대한 해결책]

  • Problem 중 해결된 사항에 대한 해결 방법 / 해결되지 않은 사항에 대한 피드백

공통적으로 이야기한 부분

  1. 주제선정 할 때 차별성까지 고려하여 선정
  2. 팀원 각자의 강점부분을 살리고 과제에 배치 및 분업 문화 활성화
  3. 분석기법에 대한 스터디를 통해 분석 기술력 높이기
  4. 팀원들과 프로젝트에 대한 모든 것을 공유하기 위해 기록 형태 개선
  5. 분석에서만 그치지 말고 분석을 통해 어떤 것을 제시할 수 있을지까지 함께 생각해보기
  6. 데이터 셋업에 더 신경을 많이 쓸 것
  7. 여러 툴을 사용하여 팀원 개개인의 역량 높이기
  8. 오프라인 회의 비중 늘리기
  9. 개인별 프로젝트 TIL을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각자 이해했거나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적어 서로의 프로젝트 이해도 공유
  10. 회의록을 2인 1조로 작성 / 음성녹음 활용
  11. 데이터 전처리 경험 만들기

개인적인 부분

  • raw data 활용하여 전처리 경험을 늘리기
  • 팀원 개개인의 역량을 사전에 확인하고 알맞은 프로세스에 배치하기

배운 점

지오데이터 스킬

  • QGIS, geopandas, tableau 등 여러 공간 데이터를 다루는 툴을 사용하며 공간 데이터 관련 정보와 전처리 방법, 시각화 방법 등을 터득함
  • 코드로 하는 지오코딩 / 툴로 하는 지오코딩

데이터 셋업과 룰베이스의 중요성

  • 프로젝트 초반 데이터 셋업과 확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프로젝트 막바지에 데이터 확인과 전처리를 위한 막대한 시간 손실이 발생함. 추후 프로젝트는 사전 데이터 확인 작업에 더 시간을 들이고 분석 작업을 시작해야 할 것을 배움.
  • 프로젝트에서 기대하는 성과가 초반에 공유되지 않아 프로젝트 막바지에 변경되면서 시간 손실이 발생함. 프로젝트 초반부터 프로젝트 정의, 의미, 기대 성과를 팀원 간 동일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많은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
profile
한 걸음씩 쌓아가는 데이터 분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