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정한 공백을 넣어준다.
margin-left: 100px; - 왼쪽 바깥쪽에 100px만큼 공백을 넣어준다.
right, top ,bottom 모두 가능
margin: 100px 120px 200px 400px; :
padding-left: 100px; - 내부 왼쪽부터 100px의 공백을 넣어준다.
right, top ,bottom 모두 가능
padding: 100px 120px 200px 400px; :
'top 100px' 'right 120px' 'bottom 200px' 'left 400px'
이렇게 한번에 설정 가능
box-sizing: border-box; 를 사용하면 크기 변화없이 설정한 크기 내에서 패딩이 적용된다.
형제 사이에서 위쪽 태그의 아래쪽에 마진을 넣고 아래 태그의 위쪽에 마진을 넣으면 둘의 마진이 겹치게 된다.
html
<div class="margin-one"></div>
<div class="margin-two"></div>
css :
.margin-one { width: 100%; height: 100px; background-color: yellow; margin: 0 0 100px 0;}
.margin-two { width: 100%; height: 100px; background-color: blue; margin: 50px 0 0 0;}
일때 margin-one의 아래쪽과 margin-two의 위쪽이 겹치게 된다.
자식 태그에 마진을 넣으면 부모 태그도 자식을 따라 딸려가게 된다.
html
<div class="margin-parent">
<div class="margin-child">
css
.margin-parent {width: 300px; height: 300px; background-color: yellow;}
.margin-child {width: 150px; height: 150px; background-color: blue; margin-top: 100px;}
위 상황에서 child에게 100px의 마진 탑을 줬지만 parent도 딸려가게 된다.
태그를 통해 만든 글자나 사진, 도형을 내가 원하는대로 배치하는 것
1.크기값을 지정할 수 없음
2.한 줄에 여러 개 배치
3.상하 마진 가질수 없음
4. 기본 너비값은 컨텐츠의 너비값
1.크기값을 지정할 수 있음
2. 한 줄에 한 개만 배치
3. 상하좌우 마진 모두 가질수 있음
4. 기본 너비값은 100%
display를 사용하여 inline -> block/block->inline으로 바꿀 수 있다.
ex) display: inline; - 가로로 배치
dispaly: block; - 세로로 배치
display: inline-block; - 인라인과 블록의 두가지 성질을 가짐
<span></span> - inline의 성질을 가져 가로로 배치되고 세로로 늘어지 않는다
<h1></h1> - block의 성질로 세로로 배치되고 가로,세로 둘다 늘어난다
태그들을 정렬하는 것 (가장 크기가 큰 값을 기준)
vertical-align: [명령];
margin-top 사용시 부모자식간에 발생하는 마진 병합 현상이 일어나는 지
top, right, bottom, left 속성을 사용할 수 있는 지
자식의 높이값이 부모에게 영향을 주는 지 - 부모의 높이 값이 없어도 자식의 높이 값에 따라 적용되는 지 유무
fixed를 빼고 3 X 3 X 3 = 27가지 경우의 수 숙지
static 1. static 마진병합, top속성, 높이값 영향
2. absolute 마진병합, top속성, 높이값 영향
3. relative 마진병합, top속성, 높이값 영향
absolute 1. static 마진병합, top속성, 높이값 영향
2. absolute 마진병합, top속성, 높이값 영향
3. relative 마진병합, top속성, 높이값 영향
relative 1. static 마진병합, top속성, 높이값 영향
2. absolute 마진병합, top속성, 높이값 영향
3. relative 마진병합, top속성, 높이값 영향
position의 개념이 아직 친숙하지 않아 어렵게 다가왔다.
코드를 넣으니 velog 조작이 어려워졌다.
계속 찾아보고 암기하기
점점 복잡해지는 게 나오지만 이것을 알아야만 내가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