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onent요?
간단하게 말하자면
function sayHello(name, saying) {
return (
<div>
<h2>{name}</h2>
{saying}
</div>
)
}
sayHello('야옹아', '반갑다잉');
sayHello('멍멍아', '산책가자');
혹은
<sayHello name="야옹아" saying="반갑다잉" />
<sayHello name="멍멍아" saying="산책가자" />
content만 바꿔서 재사용을 쥐리게 한다!!!!
함수 호출식, Tag 사용
둘다 가능하다! 태그로 만드는건 html element처럼 직관적으로 보인다!!
우왕 그럼 property를 다르게 주는 것
도 가능하겠네??
당연!!
function nyang(name, age) {
return (
<div>
<sayHello img src="주소1"/>
<sayHello img src="주소2"/>
</div>
)
}
이렇게 하면 각각 다른 사진이 뜨는거다 크어 쩌네
console로 찍어보면, obj로 img가 넘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따!!
와 그럼 모다? 만약 이걸 다른 함수로 넘겨주면 props로 받아서 사용
할수도 있다!!
function sayHello(props) {
return (
<li>
<img src="props.img">
</li>
);
}
악!!맞따
주의할 점
대문자
로 시작한다.()와 {}의
사용을 제대로 알아두자const NyangNyang = () => {
return (
<h1>잘 알아두라구!!</h1>
);
}
화살표 뒤에 {}
가 오면 그 안엔 값
을 넣는거다!
const NyangNyang = () => (
<h1>잘 알아두라구!!</h1>
)
화살표 뒤에 ()
가 오면 return을 생략한다! 바로 return한 것과 같은 의미기 때문!!
그럼 어떻게 받아?!
function Nyaong(props) {
return(
<div>
<img
src={props.img} // 2. 여기서 받아줘
/>
</div>
)
}
const app = (
<div>
<Nyaong img="이미지 주소오"/> // 1. 여기서 보내고
</div>
)
크어..쩌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