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마(Schema)

rada·2022년 3월 25일
0

개발

목록 보기
4/14

Schema는 계획이나 도식을 가리키는 영어 낱말이다.

참고로 스킴(Scheme)은 스키마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나, 보통 스키마가 대략적인 계획이나 도식을 뜻하는 데 비해 스킴은 구체적이고 확정된 것을 말한다.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database schema)는 자료의 구조, 자료의 표현방법, 자료간의 관계를 형식 언어로 정의한 구조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 주어진 설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하며,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자료를 저장, 조회, 삭제, 변경할 때 DBMS는 자신이 생성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참조하여 명령을 수행한다.

상세하게 말하면,
개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Attribute)과 속성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개체(Entity), 개체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Relation)에 대한 정의와 이들이 유지해야 할 제약조건들을 기술한 것이다.

스키마는 3층 구조로 되어있다.

  •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프로그래머나 사용자의 입장에서 데이터베이스의 모습으로 조직의 일부분을 정의한 것.
  •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모든 응용 시스템과 사용자들이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통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논리적으로 정의한 것.
  •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저장 형태를 기술하는 것.

2. XML 스키마는 XML 문서의 내용, 구조, 형식을 규정하는 명세로 그 서술 자체를 XML로 한다.

  • 2001년 5월에 w3c표준으로 발표된 여러 xml 스키마 언어중 하나이다. 이는 w3c권고를 만족하는 첫번째 xml스키마 전용 언어이다.

3. 인공지능, 인지과학, 언어학 등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개념으로 지식을 표상하는 구조를 말한다.

스키마라는 용어는 영국의 바틀렛(Bartlett,1932)에 의해 심리학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스위스 장 피아제도 지식이 지식 구조인 스키마로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이들의 관념은 미국의 인지심리학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도 스키마 이론의 발달에 기여한 바가 크다.
오늘날의 심리학자들은 스키마를 골격 구조와 같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스키마라는 지식 표상 구조는 경험의 구체적인 속성을 조직하는 데 필요한 틀로 작용한다는 것이 인지 심리학자들의 생각이다.
스키마 이론은 지식이 조직되는 방식을 다루는 대표적 이론으로, 인공지능학자인 민스키(Minsky)와 인지심리학자 러멜하트(Rumelghart)등이 대표적인 연구자이다.
민스키는 스키마를 프레인이라고 부른다. 러멜하트는 스키마를 기억에 저장된 개념을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구조라고 정의하며, 앤더슨은 스키마를 추상적인 지식 구조로 정의한다.
메딘과 러스는 스키마를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지식 구조라고 정의한다.

profile
Surround yourself with people who inspire you to do the impossibl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