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위처럼 숫자를 출력하는 경우보다는, 반복문은 주로 리스트와 함께 쓰입니다.
아래 예시를 볼까요? 일단 아래를 복사 붙여넣기 하고, 함께 코딩해볼게요 ```jsx
let people = ['철수','영희','민수','형준','기남','동희']
```
```jsx
let people = ['철수','영희','민수','형준','기남','동희']
// 이렇게 하면 리스트의 모든 원소를 한번에 출력할 수 있겠죠?
// i가 1씩 증가하면서, people의 원소를 차례대로 불러올 수 있게 됩니다.
for (let i = 0 ; i < people.length ; i++) {
console.log(people[i])
}
```
리스트도 그냥 리스트가 아닙니다! 딕셔너리가 들어간 리스트와 찰떡이죠 ```jsx
let scores = [
{'name':'철수', 'score':90},
{'name':'영희', 'score':85},
{'name':'민수', 'score':70},
{'name':'형준', 'score':50},
{'name':'기남', 'score':68},
{'name':'동희', 'score':30},
]
```
let scores = [
{'name':'철수', 'score':90},
{'name':'영희', 'score':85},
{'name':'민수', 'score':70},
{'name':'형준', 'score':50},
{'name':'기남', 'score':68},
{'name':'동희', 'score':30},
]
for (let i = 0 ; i < scores.length ; i++) {
console.log(scores[i]);
}
for (let i = 0 ; i < scores.length ; i++) {
if (scores[i]['score'] < 70) {
console.log(scores[i]['nam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