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저는 자바스크립트 고유 개념x
함수를 일급객체로 사용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언어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특성.
클로저는 함수와 그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과의 조합이다.
const x = 1;
function outerFunc() {
const x = 10;
function innerFunc() {
console.log(x); // 10
}
innerFunc();
}
outerFunc();
OuterFunc 함수 내부에서 innerFunc이 정의, 호출.
innerFunc의 상위스코프는 OuterFunc의 스코프
이뜻은 innerFunc 내부에서 자신을 포함하는 외부함수 outerFunc의 x변수에 접근o
const x = 1;
function outerFunc() {
const x = 10;
innerFunc();
}
function innerFunc() {
console.log(x); // ?
}
outerFunc();
이상황을 보자.
자바스크립트가 렉시컬 스코프를 따르기 때문.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가 아니라 함수를 "어디에 정의 했는지에 따라 상위스코프 결정" === 정적 스코프(렉시컬스코프)
const x = 1;
function foo() {
const x = 10;
bar();
}
function bar() {
console.log(x);
}
foo(); // ?
bar(); // ?
스코프의 실체는 실행컨텍스트의 렉시컬환경.
함수는 자신의 내부슬롯[[Environment]]에 자신이 정의된 환경 , 즉 상위 스코프의 참조를 저장
const x = 1;
function foo() {
const x = 10;
// 상위 스코프는 함수 정의 환경(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 함수 호출 위치와 상위 스코프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bar();
}
// 함수 bar는 자신의 상위 스코프, 즉 전역 렉시컬 환경을 [[Environment]]에 저장하여 기억한다.
function bar() {
console.log(x);
}
foo(); // ?
bar(); // ?
const x = 1;
// ①
function outer() {
const x = 10;
const inner = function () { console.log(x); }; // ②
return inner;
}
// outer 함수를 호출하면 중첩 함수 inner를 반환한다.
// 그리고 outer 함수의 실행 컨텍스트는 실행 컨텍스트 스택에서 팝되어 제거된다.
const innerFunc = outer(); // ③
innerFunc(); // ④ 10
외부함수보다 중첩함수가 더 오래 유지되는 경우 중첩 함수는 이미 생명주기가 종료한 외부 함수의 변수를 참조할 수 있음. 이러한 중첩함수를 클로저라 부름.
자바스크립트의 모든함수는 상위 스코프를 기억하므로 이론적으론 모든 함수는 클로저다 . 하지만 일반적으로 모든 함수를 클로저라고 하지는 않음.
<!DOCTYPE html>
<html>
<body>
<script>
function foo() {
const x = 1;
// 일반적으로 클로저라고 하지 않는다.
// bar 함수는 클로저였지만 곧바로 소멸한다.
function bar() {
debugger;
// 상위 스코프의 식별자를 참조한다.
console.log(x);
}
bar();
}
foo();
</script>
</body>
</html>
// 카운트 상태 변수
let num = 0;
// 카운트 상태 변경 함수
const increase = function () {
// 카운트 상태를 1만큼 증가 시킨다.
return ++num;
};
console.log(increase()); // 1
console.log(increase()); // 2
console.log(increase()); // 3
- 카운트 상태는 increase함수가 호출되기전까지 유지 되어야함.
- 이를 위해 카운트 상태는 increase함수만이 변경할 수 있어야함.
그러나 카운트 상태는 전역변수로 관리 되고 있기 때문에 누구나 접근가능 변경가능.
의도치않게 변경된다면 오류로 이어짐.
그럼 어떻게?
// 카운트 상태 변경 함수
const increase = function () {
// 카운트 상태 변수
let num = 0;
// 카운트 상태를 1만큼 증가 시킨다.
return ++num;
};
// 이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console.log(increase()); // 1
console.log(increase()); // 1
console.log(increase()); // 1
increase함수가 호출될때마다 지역변수 num은 다시선언되고 0으로 초기화 출력결과는 언제나 1 .
이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클로저 사용"
// 카운트 상태 변경 함수
const increase = (function () {
// 카운트 상태 변수
let num = 0;
// 클로저
return function () {
// 카운트 상태를 1만큼 증가 시킨다.
return ++num;
};
}());
console.log(increase()); // 1
console.log(increase()); // 2
console.log(increase()); // 3
즉시실행함수는 한번만 실행되므로 increse가 호출될때마다 num변수가 재차 초기화 될일x
"이처럼 클로저는 상태가 의도치않게 변경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은닉하고 특정함수에게만 상태 변경을 허용하여 상태를 안전하게 변경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용"
const counter = (function () {
// 카운트 상태 변수
let num = 0;
// 클로저인 메서드를 갖는 객체를 반환한다.
// 객체 리터럴은 스코프를 만들지 않는다.
// 따라서 아래 메서드들의 상위 스코프는 즉시 실행 함수의 렉시컬 환경이다.
return {
// num: 0, // 프로퍼티는 public하므로 은닉되지 않는다.
increase() {
return ++num;
},
decrease() {
return num > 0 ? --num : 0;
}
};
}());
console.log(counter.increase()); // 1
console.log(counter.increase()); // 2
console.log(counter.decrease()); // 1
console.log(counter.decrease()); // 0
function Person(name, age) {
this.name = name; // public
let _age = age; // private
// 인스턴스 메서드
this.sayHi = function ()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I am ${_age}.`);
};
}
const me = new Person('Lee', 20);
me.sayHi(); // Hi! My name is Lee. I am 20.
console.log(me.name); // Lee
console.log(me._age); // undefined
const you = new Person('Kim', 30);
you.sayHi(); // Hi! My name is Kim. I am 30.
console.log(you.name); // Kim
console.log(you._age); // undefined
name 프로퍼티는 public _age변수는 Person 생성자 함수의 지역변수이므로 외부에서 참조하거나 변경x 즉 _age는 private
sayHi메서드는 인스턴스 메서드므로 Pesron이 생성될때마다 중복생성=> memory leak현상 발생.
function Person(name, age) {
this.name = name; // public
let _age = age; // private
}
// 프로토타입 메서드
Person.prototype.sayHi = function () {
// Person 생성자 함수의 지역 변수 _age를 참조할 수 없다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I am ${_age}.`);
};
정리를 해보자면
let one;
one =1;
function addOne(num){
console.log(one+num);
}
addOne(5);
렉시컬환경
one : 초기화x
addOne: function 사용가능
-> 렉시컬환경
one : undefined
addOne:function
-> 렉시컬환경
one :1
addOne:function
-> 전역렉시컬환경
one:1
addOne:function
내부렉시컬환경
->num:5
내부 - > 외부 -> 전역
function makeAdder(x){
return function(y){
return x+y;
}
}
const add3= makeAdder(3);
console.log(add3(2));
function makeCounter(){
let num =0; // 은닉화
return function(){
return num++;
}
}
let counter =makeCounter();
console.log(counter());
console.log(counter());
console.log(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