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2 접속

san-sae·2025년 9월 9일
0

AWS

목록 보기
2/5

EC2 접속

인스턴스 요약 보기

  • [EC2] > [인스턴스] > [내가 생성한 인스턴스]에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은 정보들을 볼 수 있다.

퍼블릭 IPv4 주소

  • 빌린 원격 서버의 주소
  • 로컬에서 사용할 때 썼던 127.0.0.1(로컬호스트)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인스턴스 상태

  • 인스턴스 중지: 시스템 잠시 꺼두는 것
  • 인스턴스 재부팅: 시스템 재시작
  • ⚠️ 인스턴스 종료: 컴퓨터를 삭제하는 것이다.(잠시 컴퓨터를 꺼두는 것이 아님)
    • 인스턴스 종료를 하면 중간에 실행 취소도 되지 않는다.

보안

  • 0.0.0.0/0: 모든 IP를 의미

네트워킹

  • IPv4 주소를 볼 수 있다.
  • ⚠️ 추후 퍼블릭 DNS에 대해 찾아볼 것!

모니터링

  • 실제 서버를 운영할 때는 자주 보게되는 창
  • EC2 인스턴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EC2 인스턴스의 성능을 향상시켜주어야 하는건 아닌지 지표를 통해 파악 가능

EC2에 접속하기

  • [EC2] > [인스턴스] > [내가 생성한 인스턴스]에서 오른쪽 상단을 보면 연결 버튼이 있다.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온다.
  • 다시 연결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원격 서버에 접속된다.(CLI로 접속)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