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Controller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apiUserController' defined in file [/Users/isaac/IdeaProjects/todo-list/BE/todo/build/classes/java/main/team9/todo/controller/ApiUserController.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userRepository':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method 'setDialect' parameter 0;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jdbcDialect'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team9/todo/config/JdbcConfig.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method 'jdbcDialect' parameter 0;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namedParameterJdbcTemplate'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team9/todo/config/JdbcConfig.class]: Unsatisfied d
제약조건이 말썽이었다. 제약조건 의 명칭을 바꿔주고 다시 forward 해주니 잘 올라간다.
Mysql workbench 에서 제약 조건 이름 을 바꿔주려면, 조인이 되어지는 테이블 을 선택해서 [foreign keys] 항목 을 보면 확인 할 수 있는데, 이름도 바꿀 수 있다.
[Mysql workbench 워크벤치] 1022 - Can't write; duplicate key in table
ERD를 그리고 간편하게 SQL로 변환하니까 생산성이 향상된 것 같다!
툴을 사용하는데 거부감을 느꼈는데 아이작 덕분에 많은 것을 한 하루!
MySQL 테이블 및 데이타베이스 이름 대소문자 구분 설정
MySQL 에서 테이블 사용시 Windows 에서는 대소문자 구분이 안 되는데 Linux나 Un*x 계열에서는 대소문자 구분을 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table 과 database 명이 directory와 file 명이기 때문이다
data jdbc의 엔티티 클래스가 sql로 들어갈떄 아무리 cammel케이스로 써도 snake 표기법으로 자동 변경함
볼륨?
으로 지정돼서 이미지에 저장이 안된다고 한다.✔ 리눅스 내 자바 환경변수 설정
✔ JVM 메모리 부족으로, swap 메모리 설정
https://velog.io/@adam2/JVM-Cannot-allocate-memory-%EC%97%90%EB%9F%AC
AWS 스프링 배포
https://velog.io/@janeljs/AWS-5
./gradlew build jar
./gradlew bootrun
gradlew
는 스크립트 파일이고, 프로젝트 폴더 안에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NEYdpFupis&list=PLUZZZDGIY_2qvrZdz60YSW5AwiUiLXwt7
https://www.youtube.com/watch?v=KMG2v-E4H4Q
우디:
Storing a re-orderable list in a database
어거스트:
What does the POS actually mean in the Trello API
포지션관련
A:16 , B: 30, C: 50 대소비교할 수 있는 ORDER인데 큰 수라 나눠서 관리할 수 있다.
16+30/2
A:16, C:23, B: 30
다우니:
이동을 구현할거자나요 그얘기를 하는거같아서 시작한건대
카드의 정렬이 최신순 정렬인데 이동을 저장하려고 이얘기?
UI만 이동해주고 서버에는 이동할지 안할지 생각하고 있었다.
당연히 저장한다로 생각하고 계신거죠?
포지션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단순히 이동후 저장하는 줄 알았는데 최신순 정렬 문제도 있고
같은 컬럼순 정렬도 있네요
ERD ver 1.0
https://github.com/isaac56/todo-list/blob/dev/BE/Doc/ERD.png
최신 순 정렬에 대한 기준❓
카드의 순서 기준
으로 결정드래그&드롭으로 카드를 다른 카드 뭉치 사이에 넣는 경우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4446859/what-does-the-pos-actually-mean-in-the-trello-api 참고
넣으려는 사이드 요소의 평균값의 위치로 카드 Position 지정
ex) B: 10: C: 12 A: 16 에서 C를 A와 B로 옮기려면? (A+B)/2 = 13 B:10 C:13 A:16
➡
(2)에 대한 문제점 : 언젠가는 자료형 MAX 범위에 도달해 스택오버플로우가 뜰 것이다.
해결방안
double 사용
✔
리밸런싱
History를 문자열로 저장을 해둘지? int로 저장을 할지?
Column Type
해야할일을 완료할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