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 과제 동영상을 끝까지 보지 않고 전부 패키지 설치로 다운 받았다가 처음 부터 다시 시작했다. 혹시 라이징캠프 하시는 분이라면 꼭 이런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
앞으로 수동설치 하면서 꾸준히 쓸 명령어들을 소개하겠다.
일반적으로 wget->tar xvfz->./configure->make->make install의 과정을 걸쳐서 설치한다.
->apr, apr-util 설치
$ wget http://mirror.navercorp.com/apache//apr/apr-1.7.0.tar.gz
$ wget http://mirror.navercorp.com/apache//apr/apr-util-1.6.1.tar.gz
$ tar xvfz apr-1.7.0.tar.gz
$ tar xvfz apr-util-1.6.1.tar.gz
$ cd /usr/local/apr-1.7.0
$ ./configure --prefix=/usr/local/apr
$ make && make install
$ cd usr/local/apr-util-1.6.1
$ ./configure --prefix=/usr/local/apr-util --with-apr=/usr/local/apr
$ make && make install
->pcre 설치
$ cd /usr/local
$ wget https://sourceforge.net/projects/pcre/files/pcre/8.45/pcre-8.45.tar.gz
$ tar xvfz pcre-8.45.tar.gz
$ cd /usr/local/pcre-8.45
$ ./configure --prefix=/usr/local/pcre
$ make && make install
구글링에서 보통 pcre를 다른사이트에서 설치하라고 하는데 그 사이트가 막혀서 sourceforge라는 사이트에서 설치했다.
$ cd /usr/local
$ wget http://apache.tt.co.kr//httpd/httpd-2.4.51.tar.gz
$ tar xvfz httpd-2.4.51.tar.gz
$ cd httpd-2.4.51
$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2.4 \
--enable-module=so --enable-rewrite --enable-so \
--with-apr=/usr/local/apr \
--with-apr-util=/usr/local/apr-util \
--with-pcre=/usr/local/pcre \
--enable-mods-shared=all
$ make && make install
이렇게 Apache2.4.51버전이 설치가 완료됐다.
아파치 실행 관련 명령어들:
-> httpd -k start
-> httpd -k stop
$ sudo /usr/local/apache2.4/bin/httpd -k start
$ ps -ef | grep httpd | grep -v grep
$ sudo netstat -anp | grep httpd
$ sudo curl http://127.0.0.1
실행화면
마지막에 It Works! 가 출력되면 성공이다. 확인하고 싶으면 파이어폭스를 실행시키고 검색창에 127.0.0.1을 검색하면 It Works!가 뜬다.
127.0.0.1의 의미
왜 하필 127.0.0.1일까 궁금해서 찾아봤다. 자신의 컴퓨터를 의미하는 로컬호스트(localhost)는 IPv4에서 127.0.0.1의 ip주소를 갖는다고 한다.